북한은 지난 23일 새벽 함경북도 김책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훈련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4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3일 새벽 장거리 순항미사일 4발을 발사했다고 발표했지만, 한·미 군당국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분석 중이다. 각종 정보 자산에 탐지된 것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4일 “어제 새벽 함경북도 김책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했다”며 “발사된 4기(발)의 전략순항미사일이 동해에 설정된 2000㎞ 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타원 및 ‘8자’형 비행 궤도를 1만208초(2시간50분8초)∼1만224초(2시간50분24초)간 비행해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인민군 동부지구 전략순항미사일부대 해당 화력구분대가 동원됐으며, 기타 구분대들은 실사격 없이 갱도 진지들에서 화력 복무 훈련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합참은 “한미 정찰 자산이 파악한 것과 차이가 있다. 북한 주장의 진위를 포함해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분석 중”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거짓으로 대남 도발을 주장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기만전술’을 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 소식통은 “당시 공군 조기경보기가 떠있었지만 탐지된 것이 없었고 미군 등의 다른 정보 수집 수단에서도 확인된 것이 없다”고 했다. 순항미사일은 고도 수십m에서 100여m로 낮게 날아 지상 레이더로는 탐지가 매우 어렵지만 하늘에 떠있는 조기경보기에선 탐지가 가능하다. 북한은 지난해 11월에도 울산시 앞 80㎞ 부근 수역 공해상에 2발의 전략순항미사일로 보복 타격을 가했다고 발표했지만 우리 군은 “북한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었다.

‘북한판 토마호크’로 불리는 북 전략순항미사일은 최대 사거리가 1500~2000㎞에 달하는데 이날 북한이 주장한 것은 사거리가 긴 개량형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북 전략순항미사일이 실제로 발사됐다면 3시간 가까이 비행할 동안 한·미 군당국이 탐지하지 못한 것이어서 대북 감시 정찰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