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은 한동훈 법무장관이 채널A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에 휴대전화 비밀번호 제출을 거부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비판하고 나섰다. 검찰 수사에 제대로 협조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이런 질문을 한 김 의원은 2008년 자신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대한 검찰의 강제 수사가 시작되자, 당사에서 농성을 벌이며 한 달 가까이 수사를 거부한 이력이 있다.

2008년 11월 2일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이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자신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를 거부하며 당사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진한 기자

김 의원은 이날 대정부질문에서 한 장관에게 “수사가 불공정하다고 여겨질 때 수사를 거부할 수도 있고, 비밀번호 해제가 불편하다고 생각하면 해제를 거부할 수도 있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물었다. 한 장관이 과거 채널A 사건으로 수사를 받을 때 당시 수사팀에 아이폰 비밀번호를 알려주지 않았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비꼰 것이다.

작년 11월 한 장관이 ‘대장동 특검’을 제안한 이재명 대표를 향해 ‘쇼핑하듯 수사 기관을 선택한다’는 취지로 비판한 발언도 재소환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불공정한 검찰 수사나 비밀번호 해제 요구를 한 장관이 거부하면 상식이고, 상대가 거부하면 쇼핑이고 부당한 것이냐”고 했다. 한 장관은 “헌법적인 권한을 행사한 것이고, 거기에 따라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2008년 10월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이를 거부하며 서울 영등포 구 당사에서 농성을 벌인 적이 있다. 검찰의 구속영장 집행을 세 차례나 거부하면서 24일간 농성으로 버텼다.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가 ‘야당 탄압’이라면서 검찰을 향해 “권력의 개”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민주당도 당사 입구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의원과 당원들을 ‘사수대’로 배치했다.

농성이 길어지자 당내에서도 비판 여론이 나오기 시작했고, 김 의원은 그해 11월 24일 당사 농성을 해제했다. 김 의원은 농성을 벌인 이유에 대해 “영장심사 불출석과 구속영장 집행저지라는 민주당의 결정은 검찰에 의한 편파수사를 알리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불구속 수사원칙은 정치인의 특권이 아닌 일반 국민의 정당한 헌법적 권리”라고 했다. 이후 김 의원은 법원에 자진 출석해 구속됐다.

김 의원은 무죄라고 주장했지만 법원 판단은 달랐다. 그는 이 사건으로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7억2000만원을 선고받았다. “2005년 정치자금법을 위반해 처벌받은 전력이 있고 수사 진행 과정에서 공정한 법 집행에 불응해 죄질이 무겁다”고 재판부는 판시했다. 2심에서는 다소 감형돼 벌금 600만원, 추징금 7억2000만원이 선고됐다. 대법원은 2010년 8월 2심 판결을 확정했다.

서울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김 후보는 15대 총선에서 최연소(당시 32세)로 서울 영등포을에서 당선됐고, 16대에서 재선에 성공하면서 차세대 대선 주자로 떠올랐다. 하지만 2002년 의원직을 사퇴하고 출마한 서울시장 선거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2002년 대선 때는 정몽준 전 의원의 ‘국민통합21′ 캠프로 옮겼다가 복당해 ‘철새’ 정치인이란 오명을 쓰기도 했다. 2020년 총선 때는 민주당 후보로 서울 영등포을에 출마, 18년 만에 3선 의원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