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9월 1일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청와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선물한 풍산개 암컷 곰이와 문 전 대통령이 기르던 수컷 마루 사이에서 태어난 풍산개 강아지들과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 /뉴스1

국민의힘은 10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풍산개 반납’ 논란에 대해 “입양아동 취소 발언이 생각난다”며 비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풍산개 반납 논란을 직접 해명하며 “이제 그만들 합시다”라고 했었다. 하지만 이날도 여전히 논란은 계속되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최재형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문 전 대통령이 여러 이유를 대지만 결국은 정부에서 매월 개 관리비로 250만원을 주지 않으니 키울 수 없다는 것 같다”며 “입양 부모가 마음이 변하면 입양을 취소하거나 입양 아동을 바꾸면 된다는 문 전 대통령의 발언이 떠오른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작년 1월 대통령 재직 당시 아동학대로 입양아가 숨진 ‘정인이 사건’ 대책을 설명하면서 “입양을 취소하거나, 입양 아동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시 “아동 인권을 고려하지 않은 위험한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당시 청와대는 “현재 입양 확정 전 양부모 동의하에 관례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전 위탁 보호’ 제도 등을 보완하자는 취지”라고 해명했었다.

최 의원은 “가족과 같다고 했던 반려견과 헤어져야 하는 애틋함은 전혀 없는 매정함과 쌀쌀함만 느껴진다”며 “솔로몬 앞에서 산 아이를 반으로 갈라 나누자고 하는 여인의 외침처럼 들린다”고 했다. 그는 “꼬박꼬박 세금을 내는 국민들은 6개월 무상 양육한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고마워해야 하나보다”고도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문 전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하며 “대통령까지 지낸 분이 할 말은 아니다”라며 “정들면 강아지도 가족”이라고 했다. 그는 “퇴임 후 받는 돈만 하더라도 현직 광역단체장보다 훨씬 많은데 고작 세 마리 키우는 비용이 그렇게 부담이 되던가요”라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매월 1400만원가량의 연금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