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 안전 시스템 점검 회의를 주재했다. 관계 부처 장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선 ‘인파 관리’(크라우드 매니지먼트) 개선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정부는 이태원 핼러윈 참사를 계기로 “우리 사회가 안전한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현장에서 실시간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이날 회의에서 재난 관리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인파가 몰리는 경우 ‘1㎡당 6명부터 위험하다’는 기준을 제시하며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인파 관리 방안을 제안했다. 행안부는 우선 AI(인공지능)로 CCTV·드론 영상을 실시간 분석해 인파가 밀집하는 ‘군중 난류(亂流)’를 감지하면 위험 예·경보를 자동으로 알리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활용해 밀집 인파 위험 감지 시 공무원, 경찰·소방 요원은 물론 해당 지역 군중에게 휴대전화로 ‘재난 문자 방송’을 자동 발송하는 시스템 구축도 제안했다.

국토교통부는 출·퇴근 교통수단 인파 관리와 관련해 지하철역 전광판에 객차 혼잡 정보를 표기하고 차량 투입 확대를 위한 서울 등 수도권 신규 노선 개설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 예약제, 중간 배차 확대 등 정류장 승객 분산을 유도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국무조정실은 토론에서 경찰 등의 늑장 보고, 근무지 이탈 등에 대한 신상필벌을 확립하고 현장 지휘자 권한은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112·119 신고 시스템 상호 연계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회의에선 인파 밀집 지역에서 필요한 행동 요령을 제작해 시민에게 배포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2001년 일본이 아카시시(市) 불꽃놀이 축제 압사 사고 이후 ‘혼잡 도로는 일방통행을 기본으로 하고 출구는 입구보다 넓게 설치하며 인파 흐름을 되도록 직선으로 유도’하는 내용의 ‘혼잡 사고 방지 매뉴얼’을 제정한 사례를 참조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재난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이라면서도 “이것(컨트롤타워)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보고 체계가 신속히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안전 시스템을 점검하되, 시스템 문제와는 별개로 경찰의 늑장 대응·보고가 참사를 키웠다는 인식으로 보인다. 시스템을 운용하는 공무원들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