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이 서민들이 수백만원 정도의 긴급 생계비를 제도권에서 빌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물가를 낮추기 위한 자동차 보험료 인하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서울시의 코로나19 취약계층 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와 프리랜서 노동자에 대한 긴급 생계비 지원 현장 접수가 시작된 지난 4월 11일 서울 관악구청에서 시민들이 지원금 신청을 하고 있다. 2022.4.11/뉴스1

국민의힘과 정부는 6일 당정협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금융 취약 계층 지원 확대 정책에 합의했다고 국민의힘 성일종 정책위의장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아직 대출 한도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200만원 정도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성 의장은 “(경기 침체로 인한 대출 연체 등으로) 불법 사금융 쪽으로 빠질 수 있는 분들이 많다”며 “사채 시장으로 가게 되는 분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했다. 긴급 생계비 소액 대출은 서민금융진흥원 주도로 이뤄지고, 이르면 연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회의에서 자동차 보험료 인하도 압박했다. 성 의장은 “자동차보험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고,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될 만큼 민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자동차보험료가 민생에 부담되지 않도록 살펴보겠다”고 했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손해보험업계가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동차보험료는 손보 업계가 자율적으로 정하게 돼 있지만, 금융 당국의 영향력이 미치는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