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에 김문수(71) 전 경기지사가 29일 임명됐다. 경사노위는 노사정(勞使政) 대표가 모여 노동 정책과 노사 관계 등을 논의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다.

김 위원장은 본지 통화에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과 경기지사로 장기간 활동하면서 노사 관계를 원만히 이끌어온 경험을 살려 최선을 다해 활동할 것”이라며 “양대 노총에 속하지 않은 90%의 미조직 노동자 권익 향상과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노동 개혁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김 위원장에 대해 “정치력과 행정력을 겸비했고, 노동 현장 경험이 많아 정부와 사용자, 노동자 대표 간 원활한 협의와 의견 조율은 물론 윤석열 정부 노동 개혁 과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영학과에 입학한 뒤 학생운동을 하다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으로 제적됐다. 이후 노동운동에 투신해 서울 청계천 피복 공장에서 재단 보조공으로 일하면서 한일도루코노조 위원장, 전태일기념사업회 사무국장 등을 지냈다. 1985년 구로동맹파업 이후 서울 노동운동연합 결성을 주도했고, 1990년부터는 민주노총의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에서 지도위원으로 활동했다.

김 위원장은 1990년 원외 진보 정당인 민중당 활동으로 정치권에 들어왔으며 1996년 국민의힘 전신인 신한국당에 입당했다. 이후 경기 부천 소사에서 내리 3차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2006년 경기지사에 당선된 뒤 2010년 재선됐다.

김 위원장이 노동 운동가 출신이지만 양대 노총은 그의 임명을 비판했다. 한국노총은 “김 위원장은 반노동 발언 등으로 노동계가 환영할 만한 인물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어렵게 이어온 사회적 대화의 끈을 놓지 않도록 역할을 수행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는 민주노총도 “색깔론과 노조 혐오의 시각과 발언으로 문제를 일으킨 인물”이라고 했다. 반면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전·현직 의장들은 “김 위원장이 경기지사 시절 노동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