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국가 폭력의 진실을 밝히겠다며 재작년 12월 재출범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정근식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에서 1년 새 3명이 성 관련 의혹에 연루돼 사직하거나 해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화해위는 지난해 민간인 집단 희생 사건과 관련, ‘가해자를 특정하기 어려우면 국군·경찰로 기입해도 무방하다’고 안내해 논란이 됐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뉴스1

진실화해위가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6월 기간제 근로자 A씨가 동료 직원에게 카카오톡 메시지 등으로 성희롱을 한 것이 문제가 돼 정직 1개월 징계를 받았다. A씨는 한 달 뒤 사직서를 냈다. 올해 2월에는 전문임기제 공무원인 B씨에 대한 징계위원회가 열려 해임이 결정됐다. B씨는 입사 직후인 지난해 10월 강제추행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재판에 넘겨졌다.

올해 6월에는 별정직 5급 공무원 C씨가 징계위가 열리기 직전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일도 있었다. C씨는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지난해 11월부터 직위해제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정 위원장이 피의자 신분이었던 C씨의 빈소에 정책보좌관, 운전원을 수행하고 조문을 간 것으로 나타나 내부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진화위 직원은 “성범죄 피의자를 조문하면서 개인이 아닌 기관장 신분으로 간 것이 적절치 않다”고 했다.

진실화해위는 출범 초부터 200명 안팎에 이르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임직원 사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작년 2월 참여율이 67.5%나 됐던 것이 올해 2월에는 34.3%까지 떨어져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화해위 측은 “해당 교육에 대한 사전 홍보 미숙으로 참여율이 저조했던 것”이라며 “10월 있을 성폭력 교육에는 직원 전원이 참석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인권 침해 피해자들을 위해 앞장서야 할 진실화해위는 어느 조직보다도 높은 수준의 인권 감수성이 필요한 기관인데 소속 직원들의 성범죄로 인해 또 다른 인권 피해자들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