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물가가 오르면 실질임금이 하락하니 선제적 조치를 통해 서민들의 어려움을 덜어줄 방안을 찾으라”며 물가 상승에 대한 특별 대책을 주문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윤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 회동에서도 경제 상황에 대해 상당히 오랜 시간 이야기했다”며 “물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대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외발 요인으로 인한 물가 상승 자체를 막기는 어렵지만, 그로 인한 생계 부담은 덜어줘야 한다는 취지다.

여권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문제처럼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에 물가 상승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 고물가 문제 등을 관리하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실력을 가늠하는 지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물가민생안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위원장인 류성걸 의원은 본지 통화에서 “최근 물가 충격은 수요 측면보다는 공급 측면에서 온 요인들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해야 할 사항들과 제도적으로 해야 할 사항들을 같이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여당 내에선 정부가 비축 중인 전략 물자 방출과 수입 관세 인하 등의 대책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입 원자재와 중간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부터 덜어보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은 대통령이 정할 수 있는 유류세 인하 폭을 현행 최대 30%에서 100%로 확대하는 내용의 개별소비세법 개정안을 최근 발의했다. 세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유가 급등으로 인한 충격을 덜어보자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2년 정도는 물가·비용·임금의 동반 상승을 감수하는 수밖에 없다”는 비관론도 나온다. 한 여당 의원은 “코로나 때 풀었던 돈을 다시 줄여갈 수밖에 없는데, 당장 우리 정부도 소상공인 손실 보상 추경으로 62조원을 풀지 않았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