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5일 오후 북악산 남측 탐방로의 절 터(법흥사터 추정)를 찾아 김현모 문화재청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법흥사터(추정) 연화문 초석을 깔고 앉아 논란이 된 것에 대해 사려 깊지 못했다고 사과하면서도 “(동행한) 문화재청장에게 앉아도 되냐고 확인을 했었다”라고 밝혔다.

박수현 수석은 7일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언론과 불교계에서는 오래된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그런 원초석 위에 (문 대통령이) 앉은 걸로 그렇게 잘못 오해하실 수가 있다”면서 “원래 있었던 그 초석이 아니라 해방 이후에 누군가가 법흥사를 한번 복원해 보려고. (가져다 놓은 초석이다) 소위 그냥 그런 돌이다”라고 했다.

박 수석은 “설사 복원을 위한 그런 돌이라 하더라도 저기에 연화문이 새겨져 있으니 어떨지는 모르겠다”면서 “대통령이 그런 감수성을 다 가지고 계시기 때문에 문화재청장에게 여기 혹시 앉아도 되느냐고 확인을 했다”라고 했다.

이어 “저기서 또 올라가면 불상, 부처님 한 분이 청와대 관저 뒤에 계신데 그 부처님께 대통령 두 분 내외께서 청와대 참모들과 함께 정말 정중하게 예를 갖추는 이런 모습도 있었다”라며 “대통령이 부처님을 대하는 그런 공경이나 불교를 대하는 존중의 마음이 그것(초석 논란)과 관련이 없다”라고 했다.

박 수석은 “불편하신 점이 있었다면 저희들이 그 문제는 사려 깊지 못했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실도 있다는 사실을 꼭 말씀 드리고 싶다”라고 했다.

동행한 김현모 문화재청장이 왜 논란을 예상하지 못했느냐는 질문에는 “문화재청장도 아마 저게 최근에 이렇게 깎아놓은 그런 거기 때문에 유적이나 이런 것으로는 생각을 안 한 것 같다”라며 “본인도 오늘 세심하게 살피지 못해서 죄송하다 말씀 하셨으니 이 정도로 이해를 해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지난 5일 청와대 뒤편 서울 북악산 남측 탐방로 개방을 기념한 산행을 하면서 법흥사로 추정되는 절터에 도착해 연화문 초석에 앉아 동행한 김현모 문화재청장과 법흥사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불교계 언론인 법보신문은 6일 <대웅전 초석 깔고 앉은 문 대통령 부부…”청와대 문화유산 인식 수준 참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를 비판했다.

문화재청은 7일 입장문을 통해 “문 대통령 내외가 착석하신 법흥사터(추정) 초석은 지정 또는 등록문화재가 아니다”라며 “사전에 보다 섬세하게 준비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공감하며 앞으로는 더욱 유의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