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청와대 폐지를 약속한 가운데, 대통령 및 청와대 경호·경비 문제가 난제로 떠올랐다. 문재인 대통령은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경호 문제 등을 이유로 관련 공약을 포기하고 청와대에 5년 내내 머물렀다.

이번에도 가장 숙제는 대통령 경호다. 통행 인구가 유동적이고 변수가 많은 서울 시내에서 현재의 삼청동 청와대에서처럼 경호가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대통령이 용산 국방부를 대통령 집무실로 쓰고 한남동에 관저를 둘 경우, 자동차로 출퇴근을 해야 한다. 매일 대통령이 출퇴근할 때마다 주변 교통이 통제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용산이 유동인구가 많은 점을 감안할 때 시민 불편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대통령 이동 시에는 폭발물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방해 전파를 발신하는데 유동인구가 많은 용산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으면 휴대폰 불통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광화문보다는 덜하지만, 용산 역시 주위에 고층 건물이 즐비해 경호상 취약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층 건물에서의 공격이나 저격 등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보안 문제도 걸림돌이다. 용산의 국방부 근처에 최근까지 미군 기지가 있었는데, 청와대에서는 외교 안보와 관련된 최고 기밀 사항이 논의되기 때문에 동맹국이라고 해도 도·감청 가능성을 차단해야 한다. 장기붕 전 대통령 경호부장은 “(대통령 관저로 검토되고 있는)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등에는 결정적으로 대피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순간에 북한이나 적국의 미사일에 노출될 수 있다”며 “청와대 외부에선 스파이 및 북한 간첩 활동 등에 대통령이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했다.

다만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청사보다는 국방부 청사로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좀 더 현실적이란 얘기도 나온다.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는 대통령 전용 헬기의 이착륙이 어려웠지만, 국방부 청사는 헬기장 문제는 별로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시간 및 경호상의 이유로 지방 행사 때 자동차나 기차보다는 헬기를 이용한다. 이 밖에 국방부 청사와 연결된 지하 벙커를 유사시 대신 사용할 수 있기도 하다. 국방부 청사를 이용할 경우 경호 인력, 비서진 등 수많은 수행 인력이 근무할 공간 확보도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청와대 인력의 경우 경호처 소속 인력만 현재 690명에 달한다. 외곽을 경계하는 경찰·군 병력을 포함하면 3000명 이상이 청와대를 경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