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 건물에 마련된 유 후보의 선거 사무소에서 비대면으로 ‘정책발표 및 온라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7일 경북 구미의 한 경찰관이 최근 아스트라제네카(AZ)와 화이자 백신을 교차 접종한 뒤 사망한 사고와 관련, “백신 접종 후 사망 사고의 입증책임은 정부가 져야 한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경찰관의 부인은 ‘심근염이나 심낭염이 아니어서 백신 부작용이 아닐 것 같다’는 중간 통보를 방역당국으로부터 받고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며 “‘나는 백신 접종 못합니다. 나까지 죽으면 우리 애들 고아 됩니다’라는 경찰관 아내의 비통한 말이 안타깝고 가슴에 와닿는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정부는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사고에 대해서는 보상하겠다고 수차 홍보했다”며 “그런데 이제 와서 심근염, 심낭염이 아니니까 백신과 무관하다고 정부가 우긴다면 어느 국민이 정부를 믿고 백신을 맞겠느냐? 아직 의학계에서도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백신 접종 후 사망의 인과관계를 유가족들이 무슨 수로 증명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그는 “정부가 전적으로 보상해야 한다”며 “그동안 백신 접종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정부가 보상할 거라고 말해왔으니 딴소리 하지 말고 보상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래야 국민들께서 접종을 기피하지 않고 정부를 믿고 접종에 응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 30대 보육 교사가 화이자 백신 2차 접종 후 사망하는 사고를 언급한 유 전 의원은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며 “정부는 의학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근거를 갖고 책임을 회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 백신 접종 후 사망 사고의 입증책임은 정부가 져야 한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정부 스스로가 사망 원인이 백신이 아님을 정확하게 밝힐 수 없다면, 백신 접종 직후 발생한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이것이 국가가 국민에게 최소한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