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가 미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미국의 대러 경제 제재에 미온적 입장을 취하다 뒤늦게 합류한 것에 대해 “한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처하는 국제 공조에 있어 (미국의) 핵심 파트너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가 8일 제주시 동문시장 일대에서 열린 ‘제주와 함께 승리합니다’ 제주도 거점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남강호 기자

윤 후보는 8일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가 공개한 워싱턴포스트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대선 이후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다면 현실적 제약이 있더라도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바탕으로 한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우리 국익과도 부합한다는 명확한 신념을 갖고 임할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이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대북 연합방위태세 유지와 북핵문제 해결 등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한 협력을 견고히 하면서 포괄적 전략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며 “신기술, 글로벌 공급망, 우주, 사이버 등 뉴프론티어 분야에서 협력을 더욱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중국에 국제 규범, 인권 등 이슈에 대해 더욱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현 시점에서 어느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한 가정적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국제사회가 공통으로 지향하는 인류 보편 가치와 규범을 확립하는 데 한국도 힘을 보태야 한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일본과의 관계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현 정부에서 바닥으로 떨어진 양국 간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정상회담을 통해 신뢰 회복 계기를 마련하고 셔틀 외교를 복원할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독자적 핵 무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국제 비확산체제에 정면 배치되어 한국의 국제적 고립을 자초할 수 있다.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 즉 한미 확장억제를 강화하며 북한 비핵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번 대선이 후보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비호감 대선’이라고 불리고 있다”는 워싱턴포스트의 지적에 대해서는 “후보의 한 사람으로서 송구스럽다. 앞으로 세대와 진영을 넘어 양식 있는 모든 분들과 협치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