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왼쪽) 대통령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오른쪽) 대통령 후보가 25일 서울 송파구 올릭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2022 제24회 베이징동계올림픽 한국 선수단 결단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한 시민단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측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3·9 대선 야권 후보 단일화 문제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연다는 소식이 25일 알려지자 두 후보 측은 “당이나 후보 입장과는 무관하다”며 선을 긋고 나왔다. 관련 보도 직후 국민의힘 이준석 당대표는 윤 후보 측 토론 패널인 김동철 전 의원을 겨냥해 “윤 후보 측이라 불릴 위치에 있지 않다”고 했다. 안 후보 측 패널인 이신범 전 의원도 논란이 커지자 “억측이 난무한다”며 주최 측에 불참을 통보했다. 정치권에서는 “양측이 보인 예민한 반응은 단일화 협상이 얼마나 민감하고 복잡한 뇌관인지를 보여준다”는 말이 나왔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오전 6시 50분쯤 페이스북에서 시민단체 ‘통합과 전환’ 주최로 단일화 토론회가 열린다는 기사를 공유하면서 “이 기사에 나온 (김동철 전 의원) 토론회 참석은 당 의사와 관계없는 개인 자격 참여”라고 했다. 이어 “또한 김동철 전 의원은 단일화에 대한 의견을 당을 대표해 토론하거나 제안할 위치에 있지 않다”며 “제가 알기에는 윤 후보 측이라 불릴 위치에 있지도 않다”고 했다. 통합과 전환은 27일 윤 후보 직속 정권교체동행위원회 지역화합본부장을 맡은 김동철 전 의원과 안 후보 측 이신범 공동선대위원장을 패널로 초청해 토론회를 열 계획이었다. 국민의당도 이날 오전 8시 40분쯤 “금일 오전에 보도된 토론회는 당과 후보와는 전혀 무관하다”는 입장문을 냈다. 이어 오전 10시에는 “토론회를 두고 억측이 난무하여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에 이신범 전 의원 참가 취소를 통지했다”고 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오른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왼쪽)가 25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뉴스1

윤 후보와 안 후보도 단일화 토론회와 거리를 뒀다. 윤 후보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동철 전 의원 토론 참석에 대해 “(김 전 의원) 본인이 과거 안 후보와 당을 함께해서 순수한 개인 의견일 것”이라며 “당과 선대본부 입장, 저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알아달라”고 했다. 안 후보는 라디오에서 “단일화 가능성이 없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다가 ‘단일화 가능성이 0%인가’라는 진행자 물음에 “네”라고 했다. 이날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대한민국 체육인대회’와 ‘베이징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결단식’에 함께 참석한 윤·안 후보는 인사만 나누고 별다른 대화 없이 헤어졌다.

야권에서는 “단일화를 할지 말지, 한다면 언제 공론화할지 등과 관련한 모든 요소가 민감하고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보니 관련 토론회 소식에 양측이 급하게 진화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윤 후보 측은 “양측 모두 자기 지지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는 시점인데, 단일화 논의가 진행되는 순간 지지율이 정체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고 했다. 안 후보 측은 “후보가 단일화하지 않겠다는 뜻이 확고한데, 바깥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선 안 된다는 내부 공감대가 있다”고 했다. 그러나 야권에선 “시기가 무르익지 않았을 뿐 단일화 논의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으로 보기엔 이르다”는 말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안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집권하면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근무하겠다”며 “진짜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청와대를 나와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수차례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며 “저는 청와대에 갇혀 있거나 숨어 있는 대통령이 아니라 가끔 점심때나 퇴근 시간에 광화문 광장을 걸어서 대형 서점에 들러 책도 보며 시민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고 싶다”고 했다. 안 후보는 윤 후보를 겨냥한 듯 “확실한 정권 교체는 여당 후보와의 경쟁력에서 시작한다”며 “누구에게 표를 몰아줄 때 더 확실하게 정권 교체가 되는지, 누가 여당 후보를 압도적으로 이길 수 있는지에 대한 국민적 판단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