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오른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히로시마에서 19일부터 시작된 7국(G7) 정상회의가 21일 폐막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의장국인 일본 초청으로 이번 G7 회의에 참석한 것을 계기로 미국 주도 안보 협의체인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와 안보 동맹인 오커스(미국·영국·호주) 회원국 정상 모두와 양자 회담을 했다. 윤 대통령은 21일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참배한 데 이어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참석한 한·미·일 정상회담도 했다. 한·미·일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해 법치에 기반한 자유롭고 개방된 국제 질서를 공고히 하는 데 필요한 3국 간 전략적 공조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윤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도 회담했다. 안보·경제에서 북한·중국·러시아 등 권위주의 진영이 밀착하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취임 후 추진해온 자유민주주의 국가 간 ‘가치 연대’ 외교를 확고히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함께 참배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 있는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참배했다. 한국 대통령은 물론 한일 양국 정상이 함께 이 위령비를 찾은 것은 처음이다. 이날 참배에는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맨 왼쪽) 여사와 기시다 총리의 부인 기시다 유코(맨 오른쪽) 여사도 함께했다. /연합뉴스

이번 G7 정상회의는 북·중·러에 맞선 자유민주주의 진영 국가들의 안보·경제 연대·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자리였다. G7 정상들은 전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유엔 헌장 등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가장 강한 표현으로 다시 한번 비난한다”면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에 대해서는 대만과 치르는 갈등을 겨냥해 “힘이나 강압에 따른 일방적 현상 변경에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서는 “무모한 행동은 강력한 국제적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대통령도 G7 회의에 참관국 자격으로 참가해 G7 정상들과 뜻을 같이하면서 농업·바이오헬스·기후 분야의 협력 강화 의지를 밝히고 총 9차례에 걸친 양자 정상회담과 한·미·일 3자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 협력과 함께 인도·태평양 경제 외교, 핵심 광물 그룹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 핵·미사일 위협으로 자유와 번영, 세계 평화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로 연대한 국가들이 상황의 엄중함을 재확인하고 국제 공조를 다짐하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