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6일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발사대 추가배치가 임박한 가운데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사드기지에서 미군들이 사드 배치 작업을 하고 있다./조선일보 DB

국방부는 24일 경북 성주군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사드) 기지 부지의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공개했다. 성주 사드 기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은 이날부터 다음 달 24일까지 주민 공람을 실시한다. 환경영향평가는 사드 기지 정상화의 마지막 절차로, 평가가 최종적으로 종료되면 현재 임시 배치된 사드 기지는 정상 작전 배치 상태로 전환된다.

국방부가 공개한 초안에는 기준치를 벗어난 평가 항목은 없고, 공사가 실시될 경우 미세 먼지 대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전자파에 대해서는 “사업 지구 내·외부에서 모니터링 결과 인체 보호 기준 만족”이라고 적시했다. 이번 평가 결과, 전자파를 포함해 모든 평가 항목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는 것이 국방부 설명이다.

전자파는 야권에서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주요 논리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성남시장 시절인 2016년 7월 페이스북에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는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썼던 것이 대표적이다. 같은 해 민주당 의원 일부는 사드 배치 반대 집회에서 “강력한 전자파 밑에서 내 몸이 튀겨질 것 같아 싫어~”라는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이번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의 주요 내용은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김천시 누리집, 성주군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는 다음 달 2일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관한 주민 설명회도 개최하기로 했다. 사드 기지 반대 단체 등은 이 같은 주민 설명회를 저지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공람을 거처 다음 달까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작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국방부가 본안을 놓고 환경부와 협의를 마치면 이르면 4월에 환경영향평가가 종료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에는 보통 1~2개월이 걸리지만 시기를 예측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환경영향평가가 종료되면 기지 내 인프라 구축과 건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