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이 오는 11~13일 영국에서 열리는 G7(주요 7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추진해 온 3국 정상회의가 영국이 아닌 미국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2일 전해졌다. 외교 소식통은 이날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3국 정상이 미국에서 회담을 갖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이런 의견이 한·일 외교 당국에 전달돼 의견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안다”고 했다. 중국 견제의 의미가 큰 한·미·일 정상회의의 상징성을 부각하려면 다자회의 무대에서 잠시 시간을 내기보다는 워싱턴에서 별도로 만나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소식통은 “워싱턴 모임이 여의치 않으면 G7 계기에 만나는 카드도 여전히 살아있다”고 했다.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도 이날 “G7에서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효율적인 중국 견제와 북핵 대응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 시절 기능이 크게 약화된 한·미·일 3국 공조 체제의 정상화를 외교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 지난 4월 2일 한·미·일 안보실장 회동을 시작으로 3국 합참의장 회의(4월 29일), 3국 외교장관 회의(5월 5일), 3국 정보기관장 회의(5월 12일)가 잇따라 성사되는 데도 미국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첫 번째와 두 번째 대면 정상회담 상대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을 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외교 소식통은 “이 회의들은 모두 3국 정상회의 성사를 위한 디딤돌들”이라며 “미국은 3국 정상회의가 성사되면 4년 가까이 탈선했던 3국 안보 공조가 정상 궤도에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한·미·일 정상회의가 성사되면 2017년 9월 이후 약 3년 9개월 만이 된다.

한국 정부는 한·미·일 3각 공조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 3국 정상회의 개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다만 회의가 미국에서 열릴 경우 ‘중국 견제용’이란 색채가 뚜렷해질 수 있다는 점에는 부담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경우 문재인 정부와의 접촉 자체를 꺼리는 상황이라 3국 정상회의 개최에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