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일 오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마티아스 코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을 접견 하고 있다./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한중관계와 관련해 “미래세대인 젊은층에서 우호정서를 넓혀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근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으로 반중(反中)정서가 고조된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합뉴스, AFP, AP, EFE, 교도통신, 로이터, 타스, 신화통신 등 세계 7대 통신사와 합동으로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중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해 양국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특히 젊은 층 상호 간 이해를 제고하고 우호 정서를 넓혀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는 국내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반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래지향적 한중 관계를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문 대통령은 “양국은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한반도 문제만이 아니라 코로나 대응,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소통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중 관계는 1992년 수교 이후 30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뤄왔다”면서 “앞으로 30년을 바라보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보다 성숙하고 견실한 관계로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양국은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한반도 문제만이 아니라 코로나 대응,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소통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2017년 12월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 문 대통령은 “팬데믹 상황 때문에 제약을 받았지만,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3개월 가량 남은 재임기간 중에 한중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앞서 지난달 내에 치러질 것으로 점쳐졌던 한중 화상정상회담 개최 논의 또한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미중 관계는 양국뿐만 아니라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현실로, 미중 간 소통과 협력 촉진에 기여하는 것도 한국 정부의 역할”이라고도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을 두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도 했다. 그는 “한일 간에 풀어야 할 현안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했으나 아직 접점을 마련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과거사 문제의 본질은 인류보편적 가치인 인권의 문제로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피해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해법을 찾고 진정한 화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역사 앞에 진정성 있는 자세와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