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15일 KBS 생방송 ‘더 라이브’ 프로그램에 출연해 검찰과 윤석열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다./KBS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가 출범도 하기 전에 비판받고 있다. 한국외대 김은경 교수는 혁신위원장으로 지명된 지난 15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돈 봉투 사건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자료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돈 봉투 사건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민주당 출신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지난 12일 부결된 것에 대해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지만 (불체포특권이) 헌법상의 권리인 것은 맞는다”고 했다.

민주당은 노웅래 의원과 이재명 대표에 이어 윤·이 의원 체포 동의안까지 부결시켜 ‘방탄 정당’ 오명을 썼다. 또 당내에서 ‘돈 봉투 사건은 검찰의 기획’이라는 주장이 이어져 논란이 됐다. 이런 상황에서 김 교수의 발언은 혁신기구 책임자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국민의힘 신주호 부대변인은 “민주당 혁신 최우선 순위는 도덕적 해이와 사법 리스크인데, 지금까지 민주당의 뻔뻔한 주장을 되풀이하는 사람이 무슨 혁신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했다. 본지는 이와 관련해 김 교수 입장을 듣고자 여러 차례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한국외대 김은경 교수

혁신기구의 방향과 역할에 대해서도 친명과 비명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친명계는 이날 김 교수를 향해 이 대표에게 우호적인 권리당원 위주로 당을 재편하라고 압박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민주당의 주인은 당원이며, 이재명 지도부는 당원이 주인이 되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공약해 당선됐다”며 “당원이 주인인 정당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 달라”고 했다. 혁신기구 권한을 제한하려는 뜻도 내비쳤다.

반면 비명계는 혁신기구가 강력한 권한을 갖고 이재명 대표 체제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이어갔다. 김종민 의원은 라디오에서 “두 달 뒤면 이재명 체제 1년인데 이 지도부로 내년 총선에서 이길 수 있느냐에 대해 토론해야 한다”고 했고, 윤건영 의원은 “혁신의 끝을 미리 재단하려고 들면 안 된다”고 했다.

혁신 방향을 두고 갈등이 이어지며 당 일각에선 벌써 ‘혁신기구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혁신보다 화합이 시급해 보인다”며 “지금 혁신기구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치권 이력이 거의 없는 김 교수가 당내 갈등 속에서 혁신위를 잘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