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혁(왼쪽) 방송통신위원장과 전현희(오른쪽) 국민권익위원장이 지난 9일과 16일 국회와 한국교직원공제회에 각각 참석한 모습.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이들은 ‘임기 보장’을 주장하고 있다. /뉴스1·국민권익위

문재인 정권에서 임명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사면초가 상황에 빠졌다. 한 위원장은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과 관련해서 검찰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고, 전 위원장 또한 권익위 내에서 유일한 우군(友軍)인 안성욱 부위원장이 사퇴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20일 본지에 “지난 17일 안성욱 권익위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이 사의를 표명했다”며 “아직 사표가 수리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했다. 권익위 내에서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사무처장은 위원장에 이어 실질적인 2인자로 평가받는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안 처장은 성남에서 총선과 지방선거를 준비했었다.

국민권익위는 위원장·부위원장을 포함해서 정무직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전현희 위원장, 안 부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다. 반대로 김태규·정승윤 부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새로 발탁됐다. 안 부위원장이 떠나면 전 위원장은 권익위에서 사실상 고립무원의 처지가 된다.

그럼에도 전 위원장은 올해 6월까지 임기를 마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전 위원장은 “정권에서 (권익위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국민들과 소통을 하시기를 거부하셔서 기관장으로서 아쉽다”고 했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다. 지난 16일 검찰은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 의혹과 관련해서 한 위원장의 사무실·주거지에 대한 압수 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2020년 TV조선에 대한 재승인 심사 과정에서 방통위 수뇌부가 조직적으로 점수 조작에 가담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당시 재승인 심사위원장이던 윤모(63) 광주대 교수, 재승인 심사 업무를 맡은 방통위 방송정책국장 양모씨, 방통위 방송지원정책과장 차모씨는 이미 구속된 상태다. 방통위는 심사위원들이 독립적으로 심사·평가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7월 임기가 끝나는 한 위원장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 이런 상황에서는 나갈 수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