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내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벌써부터 당내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구 공천을 놓고 친명(親明·친이재명)계와 비명(非明·비이재명)계의 충돌 조짐이 보이자, 이재명 대표와 당 지도부가 직접 나서 ‘경고 메시지’를 보내며 내부 단속에 나섰다.

민주당에선 지난달 설 연휴 때부터 친명과 비명 간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한 비례 의원은 양기대 의원이 현역으로 있는 경기 광명을 지역에서 인사를 돌았고, 다른 친명계 인사는 윤영찬 의원의 경기 성남중원에 플래카드를 걸었다. 양 의원과 윤 의원은 대표적 친이낙연 의원으로 꼽힌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역구가 없는 비례 의원이나 원외 인사들 중 상당수가 친명을 자처하며 비명 의원 지역구를 물색 중”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당 혁신위가 최근 현역 의원 평가에 ‘당원 평가’와 ‘장외 투쟁 참가 여부’를 반영하는 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명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 대표를 지지하는 강성 당원들 평가가 반영되면 비명계로 분류된 의원들은 불리할 수밖에 없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조정식 사무총장은 12일 기자 간담회에서 검찰 수사를 비판하다 갑자기 총선 공천 얘기를 꺼냈다. 그는 “이재명 대표는 공천 제도에 대해 현 당헌·당규에 기반한다는 확고한 입장”이라며 “’사천(私薦)은 없다’는 분명한 뜻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조 사무총장은 “민주당 공천 제도는 이미 시스템 공천으로 확립되어 있고 특정인이 좌지우지할 수 없다”면서 “평가 제도 역시 현 당헌·당규를 기본으로 하여 추후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가 구성된 후 공정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도 지난 10일 당 비공개 최고위 회의에서 “최근 당 단합을 해치고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들이 있다”며 “지역에서 ‘이재명 대표가 보내서 왔다’는 식의 표현을 한다고 한다. 이런 식의 활동은 허위 사실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기 이름을 팔아 선거운동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친명·비명 간 갈등이 심해지면 윤석열 정부와 검찰 수사에 맞서는 민주당의 ‘단일 대오’가 흔들릴 수 있다고 보고 내부 단속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