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5일과 8일 전국위원회와 상임전국위원회를 두 차례씩 열어 당헌을 개정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재구성한다. 지난달 법원의 가처분 결정으로 기능이 정지된 당 비대위를 복구하기 위한 작업이다. 비대위원장은 8월 비대위를 이끌었던 주호영 의원이 다시 맡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 사이에선 주 의원이 다시 비대위원장을 맡는 것에 대해 큰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 지역 한 의원은 “주 의원은 당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출범한 비대위에서 위원장을 맡았고, 본인의 잘못이 아니라 법원 결정으로 며칠 만에 직무정지를 당한 것”이라며 “교체돼야 할 이유가 없고, 다른 적임자를 찾기도 어렵다”고 했다.

반면 ‘법원의 가처분으로 주 의원의 비대위원장 직무가 정지됐는데 주 의원을 다시 위원장으로 추대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반론도 있다. 대안으로 경남지사를 지낸 3선 김태호 의원, 4선 홍문표 의원 등 다른 중량급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친윤계에선 김 의원이 지난달 법원의 가처분 결정 이후 권성동 원내대표의 사퇴를 공개 요구했다는 점에서 ‘김태호 위원장’에 반대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주 의원이 다시 위원장을 하더라도 비대위원 일부는 교체해, 똑같은 비대위를 두 번 출범시키는 모양새는 피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민의힘의 비대위 재구성 절차는 4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5일 오전 전국위를 열어 당헌 개정안을 의결한다. 법원이 ‘비대위 전환이 국민의힘 당헌에 위배된다’며 이준석 대표 자동 해임과 비대위 전환을 막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당헌 자체를 바꾸는 것이다. 이어 5일 오후 상임전국위를 다시 열어, 현 상황을 ‘비대위 설치가 가능한 비상 상황’으로 또 한 번 유권해석하는 절차를 거친다. 8일에는 전국위를 다시 열어 비대위원장을 공식 지명하고, 이어서 상임전국위를 다시 열어 비대위원들을 지명한다.

비대위 구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비상 상황 유권해석’ 절차까지 다시 하는 등 복잡한 절차를 밟는 것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법원이 비대위 구성에 재차 개입할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준석 대표 측은 비대위가 재구성되면 곧바로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다시 내 법원의 개입을 청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