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전두환 관련 발언을 사과하기 위해 10일 오후 광주(光州) 5ㆍ18민주묘지를 찾았으나 반대하는 시민들에 가로막혀 추모탑 헌화ㆍ분향을 하지 못한 채 묵념으로 참배를 대신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10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이날 윤 후보는 5·18 민주묘지 추모탑에 헌화·분향하려 했으나 반대하는 시민들에 가로막혀 추모탑 입구에서 묵념으로 참배를 대신했다. /연합뉴스

윤 후보는 이날 추모탑 입구에서 묵념으로 참배를 대신하며 “저의 발언으로 상처받은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윤 후보는 사과문을 낭독하며 “저는 40여년 전 5월의 광주 시민들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피와 눈물로 희생한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며 “광주의 아픈 역사가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역사가 됐고, 광주의 피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꽃 피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러기에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는 5월 광주의 아들이고 딸”이라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슬프고 쓰라린 역사를 넘어 꿈과 희망이 넘치는 역동적인 광주와 호남을 만들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어 “국민 통합을 반드시 이뤄내고 여러분께서 쟁취하신 민주주의를 계승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참배 후 “(윤 후보의 참배에) 항의하신 분들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드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분들의 마음을 십분 이해한다”며 “분향은 못했지만 사과 드리고 참배했던 게 다행이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윤 후보는 후회됐던 발언이 있냐는 취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의에 “(저의) 발언으로 다른 분들께 상처를 줬다면, 거기에 대해 질책을 받고 책임을 져야지 후회라는 건 의미가 없다”며 “오늘 이 순간 사과 드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처 받으신 국민들, 특히 광주 시민 여러분께 이 (죄송한) 마음을 계속 가지고 가겠다”고 했다.

이날 광주는 비가 내렸으나 윤 후보를 비롯한 수행원들은 우산을 쓰지 않고 비를 맞으며 5ㆍ18민주묘지를 방문했다. 윤 후보의 5ㆍ18민주묘지 방문 현장엔 지지자와 반대자, 취재진 및 경호인력 수백 명이 뒤엉키면서 일대 혼란이 빚어졌다.

앞서 윤 후보는 지난달 19일 부산에서 국민의힘 당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두환 대통령이 잘못한 부분이 있지만, 군사 쿠데타와 5·18만 빼면 정치는 잘했다고 말하는 분들이 많다. 호남에서도 그렇게 말하는 분들이 꽤 있다”고 발언해 논란에 휩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