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 의원총회에서 김태년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은 29일 박원순·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에 이은 사퇴 등으로 내년 4월 치러지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로 하고, 이를 위해 당헌(黨憲) 개정 여부를 묻는 ‘전(全) 당원 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민주당 당헌은 당 소속 공직자의 ‘중대 잘못’으로 생긴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민주당 대표 시절 “재·보궐선거 원인을 제공한 정당은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며 관련 규정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런 방침을 뒤집고 후보를 내겠다는 것이다. 서울시장 보선에 571억원, 부산시장 보선에 267억원 등 830억원 넘는 세금이 들어갈 전망이다. 민주당은 “송구하다"면서도 약속 파기와 혈세 낭비에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았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이날 당 의원총회에서 “당헌에 따르면 서울·부산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어렵다”면서 “(그러나) 후보자를 내지 않는 것만이 책임 있는 선택이 아니며, 오히려 후보 공천을 통해 시민 심판을 받는 것이 책임 있는 공당의 도리”라며 전 당원 투표 방침을 밝혔다. 민주당은 전 당원 투표를 오는 31일과 다음 달 1일 이틀간 실시하기로 했다.

한편 국민의힘 경선 준비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열고 서울·부산시장 보선 후보 경선 때 당원과 국민 비율을 현행 ‘5대5’에서 ‘2대8’ 또는 ‘3대7’로 바꿔 일반 국민 참여 비율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외부 인사 가운데 유력 후보군이 형성되면 야권 단일 후보 선출을 위해 ’100% 국민 경선'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등과 연대를 염두에 둔 포석이란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