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뇌(brainwashing)는 강제로 사상을 주입해서 원래 정치적, 종교적 신념과는 정반대인 신념을 갖게 만드는 행위다. 진화, 원자, 산소처럼 우리가 쓰는 과학 용어 대부분은 서양 언어를 동양 언어로 번역한 것이지만, 세뇌는 그 반대다. 영어의 브레인워싱(brainwashing)을 번역해 세뇌가 된 것이 아니라, 거꾸로 중국에서 자주 쓰던 한자어(洗腦)가 번역되어 brainwashing이 되었다. 이 단어는 중국 특파원으로 오랫동안 활동한 에드워드 헌터(Edward Hunter)의 기사(1950)와 저서 ‘붉은 중국에서의 세뇌’(1951) 이후에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곧이어 6·25전쟁 중 북한에 억류된 미군 포로들이 미국이 화학무기를 사용했다고 (거짓) 자백했고, 포로 21명은 종전 후에 미국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해서 자유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사례는 한국 전쟁에서 잡힌 포로가 대통령의 암살자로 세뇌되어 석방되는 영화 ‘만추리안 캔디데이트’(1962)의 소재가 되었다. 자극적 대중문화는 세뇌라는 개념을 널리 퍼트린 기폭제였다.

1960년대 이후에 정신과 의사와 심리학자들은 공식적으로 세뇌를 해리성 장애에 속하는 정신병으로 분류했다. 그렇지만 더 많은 연구가 축적되면서 사람의 뇌를 씻어내고 사상이나 종교를 영구히 주입해 꼭두각시로 만드는 작업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면서 세뇌는 과학 영역에서 점점 ‘통속 심리학’(folk psychology) 영역으로 밀려났다.

최근에 사이비 종교가 세간의 화제가 되면서, 거기 빠진 사람들이 세뇌되었다는 얘기가 자주 들린다. 그렇지만 공산주의건 사이비 종교건 사람 뇌를 씻어낼 수는 없다. 이념이나 종교에 빠지는 것은 진정으로 사람의 뇌가 개조되어서가 아니라, 포섭된 사람이 자신이 살던 더 큰 세상과 단절되어, 사이비들의 좁은 세상에서, 사이비들과 제한된 관계만을 맺기 때문이다.

세상은 바다처럼 넓고 다채롭지만, 힘든 사람에게는 한없이 불확실하며 고통스럽고 외로울 수 있다. 밖에서 보면 사이비 종교나 극단적 이념 세계는 좁고 편견이 가득하지만, 그 속에 있는 사람에게는 확실하고 풍요로울 수 있다. 이런 사이비 세상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세뇌된 뇌를 다시 씻어내는 게 아니라, 사이비 세상에서 맺은 관계를 끊고 더 넓은 세상과 관계를 맺는 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