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g는 ‘잔소리하다’라는 뜻이다. neg라는 동사도 있다. ‘부정적 반응을 보이다’라는 의미다. 심리 전문가들은 nagging보다 negging을 경계해야(look out for) 한다고 말한다. negging은 ‘칭찬으로 가장한 모욕(insult disguised as a compliment)’ ‘모욕으로 느껴질 수 있는 칭찬’을 뜻하는 backhanded compliment(비아냥거리는 칭찬)로도 불리는 감정 조작(emotional manipulation) 형태다.

/일러스트=최정진

가해자는 피해자로 하여금 회의감과 자괴감을 느끼도록(have feeling of doubt and sense of shame) 조종해 스스로 가치 없는 존재라고 믿게끔 세뇌한다(brainwash). 피해자는 심지어 자신의 정체성에도 의문을 품기 시작해(start to question their own identity) 심각한 정신적 외상을 야기한다(result in major trauma).

다른 사람과의 비교, 질문으로 포장한 모욕 등 다양한 조작 수법(diverse manipulation tactics)을 이용해 자신감을 무너뜨리는(undermine their confidence) 이런 감정적 학대는 배우자 또는 애정 상대(partner or love interest) 사이에서도 자행된다. “보기보다 똑똑하네” “다이어트 하면 좀 나아질 텐데” “예뻐서 취직됐구나”라며 빈정대는 말(sarcastic remarks)을 하고는 피해자가 정색하면(straighten their faces) “농담이야, 농담. 너무 예민하네” 하면서 넘어가는 식이다.

“그 단어 철자도 알아?” “무슨 소리인지 알고나 하는 거야?” 등 모욕을 질문으로 가장해(disguise insults as questions) 자기가 한 수 위인(be one-up on you) 것처럼 굴면서 상대에게 불안감을 느끼게(feel insecure) 하고, 자기로부터 관심과 인정을 받으려면 다른 사람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주입한다. 이처럼 장기간에 걸쳐(over an extended period) 스스로 부정적 인식과 좌절감을 느끼게(feel negatively about yourself and frustrated) 만드는 것이 해를 끼치는 사람의 전형적 특성(classic trait of a toxic person)이다.

모욕적 행위에 우려를 나타내면(voice concerns about their abusive behaviors) “그냥 농담”이라거나 “너를 위해 하는 말을 왜 곡해하느냐”며 되레 미안함을 느끼게 몰아간다. 말다툼을 일으키는 건 자신이 아니라 피해자라고 교묘히 책임을 떠넘긴다(cleverly shift the responsibility on you).

그러면 피해자는 잘못한 것도 없으면서 사과를 하기 시작하고, 자신이 부족하니까 도와주려는 마음에 그런 언행을 한다는 믿음에 빠져들어 가해자가 마음대로 농락하며 부릴(twist the victim around their little fingers)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의도적으로 현실을 왜곡하는(intentionally distort reality) 상황 조작과 심리적 방법으로 자기 자신을 의심하게(doubt oneself) 만듦으로써 누군가를 조종·통제하는 행위를 말하는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 negging의 전형적인 실례(實例·typical example) 중 하나다.

[영문 참고자료 사이트]

https://www.marriage.com/advice/mental-health/what-is-negging/

https://www.dailymail.co.uk/femail/article-9815307/Are-victim-negging-Expert-reveals-six-red-flags.html

https://medium.com/hello-love/6-subtle-signs-someone-is-negging-you-and-how-to-respond-bf06f3944308

https://happiful.com/what-is-neg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