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소설 ‘어느새’가 담긴 ‘빛바랜 정원(faded garden)’.

“만약에 우리한테 아이가 있었다면 말이에요. 재롱을 피우고 우리를 사랑해주고, 어른이 되어 또 다른 아이의 부모가 되었을 자식이 있었다면 말이죠. 우리의 늘그막이 얼마나 빛났을까요. 예쁜 장난감과 사탕을 준비하고, 트리에 불을 밝히고, 신이 나서 춤을 추는 커다란 눈망울을 바라볼 때 ‘할아버지, 할머니’ 하고 부르는 달콤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얼마나 근사한 크리스마스가 되었을까요.” - 힐데가르드 호손 ‘어느새’ 중에서

결혼하고 아이를 갖는 것이 당연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는 ‘태어날 아이에게 못 할 짓’이라며 낳지 않는 부부가 많다. 2021년 우리나라 출산율은 198국 중 2년 연속 꼴찌다. 2060년이면 65세 이상 노령 인구가 국민의 절반을 넘는다. 100년 후 전체 인구는 1500만명. 그리 멀지 않은 미래, 우리의 유전자를 나눠 가진 사람은 지구에서 사라질 것이다.

소설 속 노부부는 평생 서로를 사랑하며 살아왔다. 무엇 하나 부러울 것 없는 삶이었지만 자식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할 때 두 사람 모두 가슴이 시리다. 그러던 어느 날, 작고 예쁜 여자아이가 그들을 찾아온다. 젊은 시절 품어보지 못한 자식처럼, 늘그막에 안아보았으면 했던 손녀처럼 아이는 재롱을 떨고 소리 내 웃으며 집안을 환히 밝힌다.

노부부는 지금껏 누려보지 못한 행복에 감사한다. 새근새근 잠든 아이를 바라보며 흰머리를 맞댄 그들도 영원한 잠에 빠져든다. 아이와의 시간은 그들 부부가 이생에서 함께한 마지막 꿈이었다. ‘주홍글씨’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의 손녀가 쓴 소설이다. 곧 사라질 말이겠지만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딸이 ‘대를 이어서’ 소설을 썼다.

마침 지방선거일이다. 대선, 총선, 재·보궐 등, 그 많은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은 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한다. 그런데 왜 점점 더 아이 낳아 키우기 싫은 세상이 되는 것일까. 정치인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는 한, 한국인의 소멸은 막을 수 없다. 자식도 손자도 없던 노부부의 쓸쓸한 꿈이 젊은 세대의 마지막 꿈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 조금 슬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