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철원

미국의 거듭된 자제 요청에도 이스라엘이 지난 19일 새벽 이란을 공격했다. 이란의 미사일과 무장 드론 공격을 받은 지 엿새 만에 재보복을 강행했다. 이스라엘은 미국 반대에도 가자지구 라파의 지상전 준비도 착착 진행하고 있다. 미국이 민간인 피해 우려를 제기하며 아무리 제동 걸어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미국의 가이드라인을 하나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중동 전쟁’으로 비화하는 것을 막는 것은 11월 대선을 앞둔 미 바이든 대통령의 지상 과제다. 사망자 3만4000명을 낸 가자 전쟁의 조기 휴전도 필요하다. 재선이 급한 바이든은 네타냐후 총리에게 확전을 자제하라는 당부를 계속하고 있지만 먹혀들지 않는다. 외신 영상에 나오는 바이든의 모습을 보면 마치 이스라엘에 사정하는 듯한 어조다.

▶이스라엘은 미국의 원조도 세계 어느 우방국보다 가장 많이 받았다. 2차 대전 이후 약 2636억달러의 원조를 받았는데 대부분 군사 원조다. 미국은 주변 아랍국에 대해 이스라엘의 질적 군사적 우위(QME)를 유지시킨다는 원칙 아래 각종 무기와 방위 물자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나라엔 전력 자산 수출을 엄격히 통제하지만 이스라엘은 예외다. 이스라엘이 사고 싶은데 미국이 안 파는 군사 관련 장비는 거의 없다고 한다. 이번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도 F-35 스텔스기 등 미국이 해외 이전을 제한하는 최첨단 공격 수단이 동원됐다고 한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이 왜 이스라엘 앞에선 쩔쩔매는 것일까. 미국 내 유대인은 700만명 정도로 전체 인구의 2% 수준이지만 이들은 정·재계, 학계, 언론, 문화·예술계에서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미국의 유대계 이익 단체 ‘미·이스라엘 공공 정책위(AIPAC)’는 막강한 자금력으로 미국 정치판을 좌지우지하는 최대의 로비 단체다. 정계 인사는 물론 대통령도 유대인 눈치를 안 볼 수 없다. 바이든 대통령 자신이 대표적인 친이스라엘 정치인으로 꼽힌다. 바이든 백악관의 직원 33%가 유대계로 알려졌고 바이든의 두 며느리가 유대계다.

▶무조건 이스라엘 편만 드는 것이 중동에서 반미 감정을 심화시켜 미국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미국은 이스라엘 편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통상 국제 관계에서 강대국이 갑이고 이스라엘 같은 나라는 을일 수밖에 없는데 미·이스라엘 관계는 갑을 관계가 뒤바뀐 것 같다. 미국의 저명한 칼럼니스트가 “미국은 이스라엘의 위성국가”라고 평가했을 정도다. 외교·안보·경제 모두 미국 눈치를 봐야 하는 우리로선 이스라엘이 부럽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