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은 육사에 설치된 홍범도·김좌진 장군 등의 흉상 이전 문제와 관련해 “흉상 철거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국군의 뿌리가 독립군과 광복군에 있음을 부정하는 것인가”라고 했다. 때마다 목소리를 내온 문 전 대통령이 육사 흉상 문제에도 끼어든 것이다.

흉상 논란의 시발점은 다름 아닌 문재인 정부다. 문 전 대통령은 2017년 취임 직후 “홍범도 장군을 비롯한 독립군과 광복군을 우리 군의 출발점으로 제대로 교육하라”고 했다. 5년짜리 대통령이 국군의 출발점까지 정한다. 그러자 군은 이듬해 3·1절에 홍 장군 등 5인의 흉상을 육사 충무관 중앙 현관에 세웠다. 국군의 뿌리를 굳이 따진다면 고조선 시대까지 가야 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육사에 흉상을 세운다면 을지문덕, 강감찬 등 수십~수백 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문 전 대통령은 반일 몰이를 하기 위해 군 역사와 육사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육사는 6·25전쟁사를 필수 과목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북한과 중공군의 남침에 대한 교육은 줄이고 반일 몰이에만 정신이 팔려있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8일 전남 구례군 양정마을 회관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은 육사에 설치된 독립운동가 흉상 이전 움직임에 대해 "우려한다"고 했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도 "반대한다"고 말하는 등 각종 현안에 대해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뉴스1

문 정권은 10월 1일 국군의 날은 정통성이 없다며 광복군 창설일(9월 17일)로 변경하는 방안까지 검토했다. 6·25 남침 공로로 김일성에게 훈장을 받은 김원봉을 국군의 뿌리인 것처럼 말했다. 자신의 편견으로 육사에 흉상들을 세운 문 전 대통령이 이 논란을 만든 장본인이다.

문 전 대통령은 잼버리 대회가 파행을 빚자 “국격과 긍지를 잃었고 부끄러움은 국민의 몫이 됐다”고 했다. 자신의 임기 내내 준비가 부족했는데 그 책임은 철저히 외면했다. 후쿠시마 방류수에 대해서도 “정부 대응이 아주 잘못됐다. 방류에 반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자신의 재임 때는 “국제원자력기구의 결론에 따르겠다”고 했고 장관들도 “반대하지 않는다”고 했다. 참으로 파렴치하다. 퇴임하면서 “잊힌 삶을 살겠다”더니 걸핏하면 정치적 발언을 쏟아낸다. 이런 전직 대통령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