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중환자 병상 부족 현상이 우려되는 가운데 17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병상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서울의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345개 가운데 278개는 이미 사용 중이고 67개가 남아있다. 병상 가동률은 80.6%이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 방역 체계를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지 보름여 만에 주요 방역 지표가 크게 나빠지는 등 적신호가 커졌다. 돌파 감염 증가세가 뚜렷해지면서 1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역대 두 번째인 3187명을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 수도 정부가 안정적 관리 한계라고 밝힌 수준(500명)을 넘어 522명을 보였다. 현재의 의료 여건을 고려할 때 이미 비상 수준인데, 이제 겨울의 시작이라 앞으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달 중 하루 확진자가 5000명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우선 급한 것은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를 잘 치료하는 일이다. 전체적인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보다 고령층 중심으로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점이 우려를 낳고 있다. 위중증 환자 522명 중 84.3%인 440명이 60대 이상이다.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76.7%로 점점 여유분이 없어지고 있다. 정부가 일상 회복을 일시 중단하는 ‘비상 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기준으로 예시한 75%를 넘어선 수치다. 특히 서울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80.6%에 달하고 있다. 김부겸 총리가 “수도권만 놓고 보면 하루하루 버텨내기에도 벅찬 수준”이라고 말할 정도다.

정부는 대형 병원들에 추가 병상 확보를 지시했지만 지시만으로 될 일이 아니다. 코로나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들은 추가 병상 확보의 어려움과 함께 심각한 의료진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의료진이 많은 대형 병원들은 그나마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코로나 환자를 보는 지방의료원 등은 문제가 심각하다. 다른 내과 전문의들이 코로나 중환자를 볼 수 있도록 단기 교육을 서두르거나 내과 전문 군의관들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을 보강해줄 필요가 있다. 코로나 병상 확대와 중환자 증가로 다른 일반 중환자들이 입원이나 수술에 차질을 빚는 것은 아닌지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이 모든 일이 정부와 방역 당국이 해야 할 일이다.

지난 12일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코로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가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정식 품목 허가를 받았다. 코로나 확진자들이 위중증으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지난 5일까지 국내 127개 병원에서 고령자와 고위험군 2만여 명에게 이 치료제를 투여했다. 치료제 사용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백신 부스터샷 접종 시기를 앞당긴 것은 적절한 조치다. 백신 확보와 해외 제약사의 먹는 치료제 도입에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 국민도 마스크 쓰기와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더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