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비정규직 제로(0)’ 공약에 따라 신설된 공기업 자회사 임원 중 94%를 낙하산 인사로 채웠다고 한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채용을 위해 공기업 23곳이 자회사 34곳을 세웠다. 상근 임원직이 51자리 생겼는데 48자리를 모(母)회사 출신 33명과 ‘캠코더(대선 캠프, 코드, 더불어민주당)’ 출신 15명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모를 통해 외부 채용한 인사는 3명에 불과했다. 공공기관·공기업의 온갖 자리를 자기편으로 채운 것도 모자라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려 만든 조직까지 친여 인사 ‘알박기’에 활용한 것이다.

‘캠코더’ 낙하산은 해당 분야의 전문성 없이 정치적 연줄로만 발탁된 함량 미달 인사가 대부분이다. 토지주택공사의 한 자회사 대표는 문 대통령이 대표 변호사였던 법무 법인의 사무장을 지낸 인물인데, 취임 후 부적절한 언사와 독단적 인사로 내부 반발을 샀다. 예탁결제원의 자회사에는 노무현 정부 시절 사회적 물의를 빚은 친여 인사가 대표로 갔다. 한국부동산원의 자회사 대표는 민주당 지역위원장을 지낸 농업 관련 단체 이사장 출신이 차지했다. 공기업과 달리 공기업 자회사는 채용 정보를 공개·공시하지 않아도 되는 점을 악용해 친여 임원을 마구 내리꽂는 바람에 ‘스텔스 낙하산’ ‘그림자 낙하산’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공모 절차조차 없이 낙하산을 임명한 경우도 허다하다.

문 대통령은 취임 때 공기업 낙하산 인사나 보은 인사는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이 말을 전혀 지키지 않았다. 어느 정권이든 자리 나눠 먹기는 있었지만 문 정부의 낙하산 인사는 역대 최악 지경에 이르렀다. 정권 말기엔 차기 정권을 배려해 임기직 자리의 인사를 자제하던 관행을 무시하고 온갖 곳에 자기 사람을 심어놓는 ‘알박기’ 인사까지 하고 있다. 문 정부 첫 환경장관이 구속된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에서 공공 부문 인사를 임기 전에 강제로 내보내선 안 된다는 판결이 나오자 이를 역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성 없는 부적격 인물을 하도 내리꽂자 금융노조가 ‘범죄 행위’ ‘최악의 채용 비리’라는 성명까지 냈다. 공공 조직이야 멍들든 말든 정권 끝나기 전에 자기편 자리 챙겨주는 진영 이기주의만 성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