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이 12일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G7 정상들이 중국의 경제 영토 확장 구상인 ‘일대일로’에 맞서 중·저소득 국가의 인프라 투자에 함께 나서기로 합의했다. 중국이 개도국의 인프라 투자를 독점하며 영향력을 키우는 상황을 두고 보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 언론은 “2차 대전 후 유럽 재건을 위한 ‘마셜 플랜’보다 규모가 클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동맹들이 ‘돈 싸움’에서도 중국을 압도하겠다는 것이다.

2년 만의 G7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노골적으로 반(反)중국 전선을 펼쳤다. 80년 전 미·영이 히틀러에 대응해 ‘대서양 헌장’을 발표한 것처럼 이번엔 중국을 겨냥한 ‘신(新)대서양 헌장’을 내놨다. 미 백악관은 개도국 투자 필요성을 강조하며 “2035년”을 명시했는데 시진핑 임기가 끝나는 해이기도 하다. 시진핑의 패권 야망을 꺾겠다는 것이다. 바이든은 G7 내내 중국의 인권 탄압과 반(反)시장 정책을 비판하며 ‘행동’을 요구했다.

반면 중국은 외국 기업이 미국 등의 대중(對中) 제재에 협조하면 처벌하는 내용의 법을 통과시켰다. 처벌 범위도 입국 금지부터 거래 금지, 중국 내 자산 압류까지 폭넓다. 중국 내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 등의 한국 기업도 자산을 압류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강 건너 불 보듯 할 때가 아니다.

지난해 주미 대사가 “이제는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 선택을 할 수 있는 국가”라고 했다. 친정권 인사들은 “균형 외교” “초월 외교”라고 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한국이 한미 동맹을 복원하려 하자 중국은 “미국 장단에 휩쓸리지 말라”고 훈계조로 압박했다. G7은 미국 주도로 중국과 ‘경제 영토 전쟁'까지 벌이기로 했다. G7 현장에 간 문재인 대통령은 무엇을 느꼈을까.

G7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12일 오후(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호텔 앞 해변에 마련된 만찬장에서 에어쇼를 기다리며 환담을 나누고 있다. 2021.06.13.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