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에서 각종 물의를 일으킨 의원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김홍걸, 윤미향, 이상직, 양정숙 의원.

민주당이 재산신고 누락과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아 온 김홍걸 의원을 제명했지만 김 의원은 무소속으로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게 된다. 당에서 제명되면 의원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국회의원 특권을 계속 누리면서 민주당과 한 몸으로 움직일 것이다. 이것은 징계가 아니라 눈속임이다.

김 의원은 내로남불 행태뿐 아니라 거짓말로 국민을 기만했다. 2016년 6개월 동안 서울 강남권에서만 아파트와 분양권 등 3채를 쇼핑하듯 사들였다. 총선 때 집 4채를 갖고 있으면서 10억원짜리 분양권을 신고 누락했고, 다주택이 논란이 되자 ‘한 채를 매물로 내놨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아들에게 증여한 것이었다. 세입자를 위한다며 ‘전·월세 인상폭 5% 제한 법안’에 찬성표를 던지고 자신은 전세금을 60% 넘게 올려받았다. 평생 이렇다 할 직업이나 일정한 소득이 없었는데 재산은 100억원이 넘는다고 한다. 36억원 뇌물을 받아 구속된 전력도 있다. 이런 인물을 민주당은 ‘김대중 전 대통령 아들’이라는 이유 하나로 당선이 보장된 공천을 줬다. 민주당이 책임을 느낀다면 국회 윤리위에 회부해 의원직 제명 조치를 했어야 한다. 하지만 민주당은 조사도 제대로 안 하고 서둘러 당에서 내보내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의혹 불길을 차단하고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 것 아닌가.

민주당에는 이런 무자격 의원이 한두 명이 아니다. 비례대표인 양정숙 의원은 서울 강남 등에 부동산 5채를 보유하는 과정에서 가족명의를 도용하고 세금을 탈루한 정황이 드러났다. 민주당은 선거 전에 이를 알고 진상조사까지 벌였지만 덮어뒀다가 총선이 끝난 뒤 제명했다. 역시 의원직은 유지된다. 국회가 문을 열기도 전에 불미스러운 일로 소속 당에서 제명됐는데 여전히 세비(歲費)를 타가는 코미디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윤미향 의원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도운 경력 때문에 공천받았는데 바로 그 할머니들이 ‘윤미향이 자기 잇속 챙기기 위해 우리를 이용했다’고 폭로했고 상당 부분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사기·횡령·배임 등 기소된 혐의만 8개다. 무슨 염치로 의원직을 고수하나. 그러면서 윤 의원과 민주당은 ‘당직 사퇴, 당원권 정지’를 무슨 징계나 되는 양 포장한다. 이상직 의원은 자신이 창업한 이스타항공이 8개월째 임금을 체불하고 600여명을 무더기 정리해고 했는데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면서 가족들과 함께 재산을 고스란히 챙겨 빠져나갔다. ‘대통령 가족 뒤를 봐 준 대가’라는 게 정설로 퍼지고 있다.

애초에 자격이 안 되는 사람들이 ‘국민의 대표’가 되고 문제가 불거져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들을 국회의원으로 만든 여당은 눈 가리고 아웅 식 징계로 국회의원직을 보전해준다. 잠시만 피하면 곧 잊혀질 것이란 계산이다. 국민이 우습게 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