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내년 1월, 늦어도 3월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풀기로 했다. 단, 코로나 감염 위험도를 고려해 고위험군 보호 시설에는 의무화를 계속 적용할 수 있다는 전제를 달았다. 위험도 기준은 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 병상 가동률 등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7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한 조정 방향을 논의해 이달 말까지 최종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오는 9일 회의를 열어 전반적인 조정 방향을 논의하고 15일 공개 토론회, 자문 위원회 검토 등을 거칠 예정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도 이날 “마스크 착용 방역지침 준수 행정명령과 과태료 조항을 조정하고 점차 마스크 착용을 권고와 자율적 착용으로 이행하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며 “(실내 마스크 해제 시기는) 기준이 충족되면 이르면 내년 1월에서 늦어도 3월 사이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수 국민이 코로나 면역력을 어느 정도 갖고 있고, 이전 같은 대규모 유행 가능성이 적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정부가 실내 마스크 해제 일정을 공식화한 건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의무 해제를 검토하면서, 중대본이 단일 방역망을 가동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권병기 방대본 방역지원단장은 “(각 지방자치단체에) 협조를 요청했고, 그에 대해 지자체의 이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6주간 이어지던 확진자 증가세는 지난주인 11월 5주차(11월 27일~12월 3일) 소폭 감소로 반전됐다. 다만 감염재생산지수(1 이상이면 확산)는 7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이날 신규 확진자 수 역시 수요일 기준 12주 만에 최고치(7만4714명)를 기록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변이, 겨울철 밀집 환경, 국민들의 면역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당분간 느린 증가세가 진행될 것”이라며 “아직 정점은 아닌 걸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