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새로운 코로나 변이에도 대응할 수 있는 개량 백신이 개발되면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당초 지난 5월 착수하기로 했던 코로나 대규모 항체 양성률 조사는 2개월 미뤄져 오는 7월 실시할 예정이다.

기자간담회 갖는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조선DB

9일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올 하반기 추가 접종 계획에 대해 “외국 유행 상황과 백신 접종과 감염 면역 감소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며 “(새로운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개량 백신’이 나온다면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해 국내에 도입하도록 적극적으로 백신 제조사와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화이자, 모더나 등 코로나 백신 제약사들은 변이에 적합하도록 기존 백신을 개량한 백신을 개발 중이다.

방역 당국이 ‘과학 방역’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전 국민 항체 양성률 조사는 오는 7월 중 착수한다. 백 청장은 “오는 7월쯤 1만명 표본 조사에 착수하고, 조사 결과 발표는 그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방역 당국은 코로나 감염으로 자연 면역을 얻은 국민 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분기별로 1만명 규모 항체 조사를 실시할 계획을 발표했다. 첫 조사는 5월 중 시작해 여름 중으로 결과가 나올 계획이었으나 2개월 정도 미뤄진 것이다.

다만 이와 별개로 상반기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소규모 항체 양성률 결과는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백 청장은 “실제 코로나 감염자보다 항체 양성률은 좀 더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로나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에 대해선 백 청장은 “해제하면 유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그로 인한 부담·피해를 얼마나 감당할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최대한 피해를 줄이도록 의료 체계를 정비하고 ‘아프면 쉴 수 있는’ 사회적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