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일본에도 이런 벼루는 없어요. 이건 신의 작품이에요.” 이근배 시인이 서울 마포 집필실에서 50년간 모은 벼루 1000여 점에 둘러싸여 말했다.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서울 마포에 있는 시인의 집필실에 들어서자 진한 묵향(墨香)이 주인장보다 먼저 손님을 맞았다. 글 짓는 이의 공간을 메운 것은 벼루 1000여 점이었다.

“이 돌덩이들이 우주 몇 바퀴를 돌아 어찌 나 같은 백면서생(白面書生)에게 왔는지, 하나하나 깃든 얘기를 상상해 보면 황홀해집니다.” 박물관 수장고 같은 공간에서 시인이 고개 내밀며 말했다.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인 이근배(81) 시인이다. “시는 어디서 지으시느냐” 물으니 그가 웃는다. “시 공장은 머릿속에 있지요. 폴 발레리가 그랬지요. ‘시의 첫 줄은 신이 준다’고(웃음).”

시인에겐 붙는 수식이 많다. 일가를 이룬 원로 예술가를 대표하는 국가기관인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이며, ‘신춘문예 다관왕’이다. 서라벌 예술대 문예창작과 재학 중이던 1961년 조선일보, 경향신문, 서울신문 3사 신춘문예에 당선했다.

올해가 등단한 지 60주년. “급제한 지 예순 돌을 기념한 잔치를 회방연(回榜宴)이라 합니다. 등단(登壇)한 지 예순 해 됐으니 회단연(回壇宴)이라고 해야 할지.” 이를 기념해 시인은 시만큼이나 오랜 세월 마음 뺏긴 보물을 풀어놨다. 50년간 애지중지 모은 벼루 1000여 점 중 100여 점을 공개한다.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27일까지 여는 ‘해와 달이 부르는 벼루의 용비어천가’전이다.

벼루 수집은 고아한 취미를 넘어 시인의 운명이라고 했다. “옛 선비들은 이필위경(以筆爲耕·붓으로 글 밭을 간다) 한다면서 벼루를 연전(硯田), 즉 ‘벼루 밭’이라고 했습니다. 일생일연(一生一硯), 즉 평생에 좋은 벼루 하나 갖는 것이 꿈이었고요. 그런데 옥편을 찾아보면 연전은 ‘시인’을 일컫기도 해요. ‘벼루로 글 농사를 짓는 사람’인 거지요.”

일생일연이라 했거늘, 시인은 1000여 점을 모았으니 일생천연(一生千硯)을 이룬 셈이다. “연벽묵치(硯癖墨癡). 벼루에 미친 놈, ‘벼루 또라이’죠. 먹을 돈, 입을 돈 아껴 돌덩이만 모았으니(웃음).”

벼루와는 아픈 개인사에서 인연이 시작됐다. 그의 아버지는 지난해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은 독립운동가 이선준(1911∼1966) 선생.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나라 찾는 일 하겠다고/ 감옥을 드나들더니 광복이 되어서도/ 집에는 못 들어오는 아버지와….” 그의 시 ‘자화상’ 구절처럼 시인은 아버지를 본 적이 거의 없다. 고향 충남 당진에서 유학자이던 조부 손에 자랐다. “할아버지 품에서 천자문 읽고 먹 냄새 맡으며 자랐습니다. 25리 떨어진 학교를 걸어 다니느라 밤에 기진맥진해서 곯아떨어지면 할아버지가 부르셨지요. ‘근배야, 축(祝) 지어라’. 그러면 붓에 침 발라 제사 지방을 썼답니다.”

한동안 잊고 있던 벼루가 다시 그의 삶에 들어온 계기는 1973년 창덕궁에서 열린 ‘명연전(名硯展)’이었다.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 소장품 등 명품 벼루 257점이 전시된 것을 보고 황홀경에 빠졌다. “월급이 10만원, 우리 집이 230만원 하던 시절이었는데 인사동 통문관에서 100만원 주고 벼루 한 점을 샀습니다.” 반백 년 벼루 수집 역사의 시작이었다. “그때 이중섭 소 그림이 30만원 했어요. 그땐 쳐다도 안 봤죠. 벼루 안 사고 이중섭 소 석 점 샀으면 인생이 달라졌겠죠(웃음).”

이근배 시인이 최고로 꼽는 '위원화초석일월연(渭原花艸石日月硯)'. 15~16세기 조선 초기 평안북도 위원강(북한 행정구역으로 자강도) 유역 돌인 위원석(渭原石)을 해(日)와 달(月) 모양으로 판 벼루다.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시인이 고이 모셔둔 벼루를 한 점씩 풀었다. “이런 벼루는 고려청자, 조선백자 못지않은 귀한 보물입니다. 한·중·일 삼국 중 한국만 있는 벼루인데 한국 사람들이 진가를 몰라요.” 그가 내놓은 벼루는 시커멓고 네모난 돌덩이가 아니었다. 녹두빛, 팥죽색이 도는 돌의 한가운데에 먹 가는 면을 원형 두 개로 매끈하게 파내고, 그 주변을 정교하게 조각한 형태였다. 얼핏 보면 옥 공예품 같다. 세로 40㎝ 남짓한 벼루에 거문고 켜는 사람, 술잔 든 선비, 포도 넝쿨, 십장생, 개구리, 메뚜기 등이 1~2cm 크기로 숨은 그림처럼 여기저기 새겨져 있다. “극사실주의 예술! 미켈란젤로, 로댕도 흉내 못 내는 신의 경지에 이른 조각입니다.”

시인이 최고로 꼽는 이 벼루 이름은 위원화초석일월연(渭原花艸石日月硯). 15~16세기 조선 초기 평안북도 위원강(북한 행정구역으로 자강도) 유역 돌인 위원석(渭原石)을 해(日)와 달(月) 모양으로 판 벼루다. 그간 모은 일월연 중 60여 점이 전시에 나왔다. 그는 “인사동에서 50년 골동 장사 한 사람들도 이런 벼루를 못 봤다고 한다. 명맥이 끊겼기 때문”이라며 “연구해본 결과, 임진왜란 때 일본이 조선 도공뿐만 아니라 벼루 장인도 데려간 것 같다”고 했다. 전시엔 다산 정약용이 으뜸으로 꼽았다는 보령의 남포석 벼루 40여 점도 나온다.

이근배 시인이 최고로 꼽는 '위원화초석일월연(渭原花艸石日月硯)'. 15~16세기 조선 초기 평안북도 위원강(북한 행정구역으로 자강도) 유역 돌인 위원석(渭原石)을 해(日)와 달(月) 모양으로 판 벼루다.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소장에 깃든 얘기도 흥미롭다. 그중 하나가 ‘정조대왕사은연(正祖大王謝恩硯)’.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와 자신의 스승인 대제학 남유용에게 하사한 벼루다. 김종학 화백이 소장했다가 한때 이병철 회장의 차남 이창희 전 새한미디어 회장이 가지고 있었다. 이후 IMF 외환 위기 무렵 경매에 나온 것을 시인이 3000만원에 샀다.

정조가 스승 남유용에게 준 '정조대왕사은연' /가나아트센터
정조가 스승 남유용에게 준 '정조대왕사은연' /가나아트센터

그사이 들인 돈이 엄청날 것 같다고 하자, 시인이 정색했다. “벼루 모을 때 환금성(換金性)을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진정한 소장가는 돈을 생각해선 안 됩니다. ‘안목’과 ‘지향성’이 중요하지요. 완물상지(玩物喪志). 쓸데없는 물건을 가지고 놀다가 본심을 잃어서도 안 되고요.” 그는 초정 김상옥 시인이 백자 한 점을 사서 ‘엠파이어 스테이트하고도 안 바꾼다’면서 당호(堂號·집 이름)를 불역마천시루(不易摩天詩樓·마천루와도 안 바꾸는 곳)라고 지은 일화를 꺼내며 “나도 수십억, 수백억을 준다 해도 벼루하고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시를 일러 “사람의 생각이 우주의 자장을 뚫고 만물의 언어를 캐내는 것”이라고 한 시인이다. 그간 벼루에 관해 쓴 시만 80여 편. “나이가 들어 가뭄이 든 머릿속은/ 어디서 물꼬를 튼다?/ 몇 방울의 물로는 성이 차지 않는/ 내 연전만 자꾸 말라가고….” 시 ‘여적’에선 글 밭이 자꾸 말라간다고 했지만 엄살 같다. 공초(空超) 오상순 시인이 지어준 그의 아호는 ‘사천(沙泉)’. 사막 위의 샘, 즉 오아시스다. 시인에게 벼루가 있는 한, 시상(詩想)의 오아시스는 마르지 않을 듯하다. 전시 문의 (02)720-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