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오는 24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지난 6월에 이어 5개월 만에 또다시 총파업에 나서는 것이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에 빠져든 국내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화물연대는 최근 “이번 총파업은 유례없이 강력한 파업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화물연대는 정부가 ‘안전운임제 보장’ 관련 약속을 지키지 않아 파업에 나서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2018년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 때 도입된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주의 과로·과속을 막기 위해 적정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올해까지만 한시적으로 유지되는 일몰 조항이다. 화물연대는 이 일몰 조항을 삭제해 안전운임제를 영구 시행하고, 이 제도의 적용 품목도 현재의 컨테이너 등 2개에서 전 품목으로 확대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난 6월 총파업 후 정부와 화물연대가 합의한 ‘안전운임제의 지속 추진’은 안전운임제 영구 시행을 의미하는 것이었는데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화물연대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6월 합의한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은 영구 시행이 아니라 적용 기간을 추가 연장하는 한시적 시행이라는 것이다. 안전운임제 전 품목 확대 요구 역시 수용할 수 없다는 기류가 강하다. 안전운임제 적용으로 화물 운임이 10~20% 올랐는데, 여기에 품목까지 확대하면 운임이 폭증해 영세 화주(貨主) 위주로 타격을 받고 전체 물류비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정은 22일 이와 관련한 긴급회의를 갖고 화물연대 요구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