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중소제조·서비스업, 소상공인 등을 돕기 위해 ‘정책자금 2단계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부산시청 전경. /조선일보DB

시의 ‘정책자금 2단계 지원’은 0%대 초저리 금리 제공, 기존 대출 한도 확대와 중복 지원 등 지역 중소 제조·서비스업체 등 현장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시 측은 “11차례의 현장 간담회 등을 통해 경제 현장에서 실제로 원하는 형태로 지원 내용을 리모델링했다”며 “오는 14일부터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1500억원 규모 특별 경영안정 자금을 신설,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소상공인 최대 2억원, 비제조업(서비스업 등 포함) 중소기업·소상공인 최대 1억원 등의 특별 경영안정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 측은 “이 자금은 기존 중소기업 육성·운전자금을 지원받았더라도 8억원 보증 한도에서 중복 지원이 가능하고, 추가로 부산시에서 대출 이자의 2%를 2년간 지원함으로써 기업 입장에서는 0%대의 대출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중소기업 운전자금 지원 규모를 기존 2300억원에서 31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 측은 “코로나 여파로 시설자금 신청은 저조한 반면 경영 운영에 직접도움이 되는 운전자금 수요는 많다는 지역 중소기업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며 “더 많은 기업이 운전자금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부품 기업과 스타트업 기업들의 자금 지원도 확대된다. 자동차 부품 기업의 경우 특례보증의 ‘한도 내 재대출 금지’에서 ‘한도 내에서 추가 대출 가능’으로 기준을 바꾸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 성장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해 기존 창업 특례자금 대상 범위를 확대해 더 많은 창업 기업에 융자 지원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부산시 박성훈 경제부시장은 “정책자금 2단계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코로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향후 코로나로 인해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성장 유망 기업에 대한 추가 대책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