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세종시 금남면에 위치한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부지 전경. 2.69㎢ 부지에는 산림자원연구소와 금강자연휴양림, 금강수목원, 충남산림박물관 등이 있다. 이곳은 애초 충남 공주시 반포면이었지만 2012년 세종시 출범과 함께 세종시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됐다. 충남도는 연구소 등의 충남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신현종 기자

충남도가 세종시에 있는 충남산림자원연구소의 충남 이전을 추진하자 태안군, 보령시, 청양군 등 충남 일선 시·군들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충남산림자원연구소는 애초 주소지가 충남 공주시였지만, 2012년 세종시 출범과 함께 행정구역이 변경되면서 세종시로 편입됐다. 산림자원연구소가 충남으로 옮겨지면 충남을 대표하는 자연휴양림, 수목원 등이 함께 조성될 예정이다. 이에 대규모 관광 인프라를 확보하려는 각 시·군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1994년 금강이 흐르는 충남 공주시 반포면에 생긴 충남산림자원연구소는 임업 시험연구와 산림 보존·교육 사업 등을 하는 연구기관이다. 이곳은 2012년 7월 세종시 금남면으로 주소가 변경됐다. 산림자원연구소의 부지는 총 2.7㎢로 여의도 면적(2.9㎢)과 비슷하다. 이 부지 안에 금강자연휴양림, 금강수목원, 산림박물관 등이 들어서 있다. 지난해에만 24만명의 방문객이 찾는 등 지역 생태 관광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산림자원연구소의 주소지 변경으로 관할 행정구역과 관리 주체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서 충남으로의 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해 민선 8기가 출범한 이후 이전 논의가 본격화했다. 산림자원연구소는 충남도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정작 충남 도민들의 휴양림·수목원 등 시설 이용률은 낮은 편이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충남이 아닌 세종시로 흘러들어가는 상황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23일 “2019~2021년 사이 금강자연휴양림과 수목원, 산림박물관을 다녀간 방문객은 55만여 명인데 이 중 10% 정도만 충남도민”이라고 말했다. 산림자원연구소 운영과 휴양림·수목원·박물관 등 관리비로 들어가는 연간 예산은 40억원 안팎이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지난해 11월부터 산림자원연구소 이전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다. 연구 용역을 통해 이전 타당성, 이전 대상지 선정, 비용 추계 등에 대해 오는 11월까지 결과물을 내놓을 계획이다.

산림자원연구소 이전 추진이 알려지자 충남 일선 시·군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현재까지 적극적으로 유치 의사를 밝힌 지자체는 보령시와 태안군, 청양군 등이다. 이들 시·군은 산림자원연구소와 휴양림·수목원 등 산림휴양시설을 유치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계산이다.

보령시는 ‘공공기관 유치팀’을 신설하고 ‘공공기관 등의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드는 등 산림자원연구소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보령이 충남도 소유 산림이 가장 많은 지역임을 강조하고 있다. 충남 전체 도유림의 57%인 48.3㎢가 보령시에 집중돼 있다. 보령시 관계자는 “도유림을 활용하면 부지 매입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입장이다.

태안군은 ‘산림자원연구소 안면도 유치 범군민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유치전에 가세했다. 태안군의회도 유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민·관이 함께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태안군은 조선시대 궁궐을 짓는 데 쓰인 안면송 80여 만 그루가 자라는 안면도자연휴양림이 위치해 있고, 안면도 전제 면적의 38%가 충남도 소유 토지라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청양군은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한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이 82.1㎢에 달해 충남에서 가장 많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산림자원연구소와 연계 가능한 충남 광역형 탄소중립연수원이 건립되고 있는 점도 장점으로 꼽았다. 청양군 관계자는 “충남 전 지역에서 1시간 안에 접근이 가능하고 산림자원도 풍부한 청양이 산림자원연구소가 이전할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충남도는 산림자원연구소 이전과 함께 현재 부지의 처분 방식도 논의하고 있다. 산림자원연구소 부지 2.7㎢와 건물에 대한 재산 가치는 1688억원(2022년 기준) 정도다. 충남도 관계자는 “산림자원연구소 부지의 가치가 높아 매각이 어려울 수도 있다”며 “국유지와 맞교환하는 방식 등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고 이전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