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크리에이터 '소울'. /지스트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개발한 AI(인공지능) 작곡가와 대학생 음악크리에이터가 협업해 만든 음원이 출시됐다.

지스트는 16일 AI대학원 안창욱 교수가 개발한 AI 작곡가 ‘이봄(EvoM)’과 음악 크리에이터 ‘소울(SOUL)’이 공동 작업한 음원이 출시됐다고 밝혔다.

‘이봄(Evolutionary Music)’은 지난 2016년 안 교수팀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AI 작곡가다. 인간 작곡가의 뇌 반응을 모사해 △진화알고리즘 △딥러닝 △작곡이론 △작곡 노하우 등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돼 동작하는 작곡 인공지능이다.

기획사에 속한 가수나 연습생이 인공지능과의 협업을 통해 음원을 발매하거나 가수로 데뷔하는 사례는 종종 있었으나, 일반인이 AI 작곡가와 함께 곡을 작곡해 음원을 낸 것은 처음이라고 지스트는 밝혔다.

스트레인저 앨범 자켓. /지스트

‘이봄’과 함께 음원을 출시한 ‘소울’은 현재 실용음악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어릴 때부터 가수의 꿈을 키워 왔다. 소울의 데뷔 싱글 곡인 ‘스트레인저(Stranger)’는 16일 정오부터 ‘멜론’ 등 국내 음악 플랫폼에서 들을 수 있다. 뮤직비디오는 같은 날 오후에 MUSIA 채널(www.youtube.com/@MusiaMusic)을 통해 공개된다.

‘스트레인저(Stranger)’는 AI작곡 플러그인 ‘뮤지아(MUSIA)’와 소울 본인이 공동 작곡한 곡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뮤지아’는 안 교수가 이끌고 있는 AI음악 스타트업 ‘크리에이티브마인드(CreativeMind)’에서 작곡AI ‘이봄’을 탑재해 선보인 작곡 서비스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음악을 작곡할 수 있도록 돕는다.

‘뮤지아’를 이용하면 사용자 입력이나 AI 추천코드를 바탕으로 곡의 뼈대가 되는 멜로디와 반주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멜로디와 반주에 간단한 악기 및 사운드 터치업 작업을 통해 음악 지식이 없는 일반인 누구라도 단 5분 정도면 완성곡을 만들 수 있다고 지스트는 설명했다.

안 교수는 “소울의 데뷔곡 ‘스트레인저’ 제작은 AI작곡가와 인간의 실제적인 협업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향후 다가올 초메타버스 시대의 거대 콘텐츠 시장에서 AI기반 1인 창·제작 서비스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