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을 찾아 사과의 말을 전했다./TV조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0일 광주를 찾아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윤석열 후보가 국립5.18묘지를 방문하자, 참배를 반대하는 시민들이 추모탑 앞 제단을 막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조홍복 기자

묘역 일대에는 윤 후보의 사과 방문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와 5월단체, 대학생 단체와 시민, 지지자 등 500여명이 몰려들어 시종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윤 후보는 참배를 반대하는 시민들에 가로막혀 추모탑 앞 참배단에 접근하지 못한 채 추념문과 참배단 사이에서 약식으로 참배한 뒤 30여분만에 묘지를 떠났다.

오후 4시17분쯤 묘지 입구 민주의문에 도착한 윤 후보는 방명록에 ‘민주와 인권의 5월정신 반듯이 세우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윤석열 후보가 5.18묘지에 도착해 쓴 방명록. /조홍복 기자

이어 일행과 취재진에 둘러싸여 묘역 참배단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추모탑 앞에 위치한 참배제단 앞에는 윤 후보 참배를 반대하는 시민과 대학생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윤 후보는 제단에 직접 헌화와 분향을 하지 못했다. 대신, 40여m 떨어진 지점에서 약식으로 참배했다.

윤 후보 주변에서는 “오지마라 윤석열” “돌아가라 윤석열”이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 다른 한편에서는 지지자 100여명이 ‘윤석열’을 연호하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욕하지 말자’ ‘계란 던지지 말자’ ‘자작극에 말려들지 말자’라는 손팻말을 들기도 했다.

윤석열 후보가 국립5.18묘지를 방문한 가운데 '욕하지 맙시다' '계란을 던지지 맙시다'라고 쓴 손팻말을 든 시민들. /조홍복 기자

시민 박모(75) 씨는 “사과하러 온 사람을 막는 것은 아름다운 모습이 아니다. 공정과 상식으로 생각하자”고 말했다.

윤 후보는 약식 참배 후 묘역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20여분만에 발길을 돌렸다. 묘역으로 통하는 길목에도 반대 시민들이 자리를 선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립5.18민주묘지에 도착, 참배단으로 이동하는 윤석열 후보 일행. /조홍복 기자

윤 후보는 이날 약식 참배 후 묘역 민주광장에서 준비한 사과문을 읽었다. 윤 후보는 사과문에서 “제 발언으로 상처받은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저는 40여년 전 오월 광주 시민들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위해 피와 눈물로 희생한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의 피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꽃피웠고,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는 오월 광주의 아들이고 딸”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제가 대통령이 되면 슬프고 쓰라린 역사를 넘어 꿈과 희망이 넘치는 역동적인 광주를 만들겠다”며 “여러분이 염원하는 국민통합을 반드시 이뤄내고, 여러분이 발전시킨 민주주의를 계승,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취재진과의 일문일답에서 “직접 분향하지 못했지만 사과와 참배를 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런 마음을 계속 갖고 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발언을 후회하느냐’는 질문에 “후회의 문제가 아니라, 발언이 잘못됐으면 질책받고 책임지는 것이 맞는다”고 했다. 문답을 마친 윤 후보는 도착 35분만인 오후 4시52분쯤 5·18묘지를 떠났다.

앞서, 이날 오전부터 5.18묘지 입구에는 5월단체와 대학생진보연합 소속 대학생 등이 윤 후보의 방문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경찰이 묘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설치한 안전펜스를 철거하라고 주장하며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