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년들에게 가상 화폐와 주식, 부동산에 대한 재테크 교육을 시작한다. 최근 청년들의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대출까지 받아 주식·코인 투자에 뛰어들었다가 투자 실패로 우울증과 극단적 선택에 이르는 경우도 적지 않은 만큼 ‘올바른 투자법’을 공유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지자체까지 재테크 교육에 나설 경우 투자 열풍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청 /장련성 기자

서울시는 11월 중순부터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재테크 강의와 상담을 제공하는 ‘서울 영테크’ 사업을 벌인다고 31일 밝혔다. 올해 대상자는 5000명이고, 내년에는 1만명 이상이 목표다. 서울시청 지하에 있는 ‘시민청’에서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매달 한 차례 금융 교육을 하고, 신청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비대면 재무 상담도 하는 방식이다. 강의와 상담은 무료로 제공한다.

강의 주제는 ‘Z세대의 재테크 리셀(운동화나 레고 블록 등 한정판 제품을 구매한 뒤 비싸게 되파는 행위)’ ‘NFT(대체 불가 토큰),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제대로 알아보기’ ‘메타버스에서 돈 벌기’ 등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인 등 신종 재테크에 대한 청년층 관심이 높지만, 투자 개념이나 리스크를 제대로 설명해주는 곳이 많지 않다”며 “어떻게 현금을 잘 관리하고, 자산을 형성할 것인가를 목표로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재테크 상담에선 재무 진단과 소비·지출 관리, 신용 관리 등을 짚어준다. ‘전·월세 사기 안 당하는 법’ 같이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도 알려준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11월 중순부터 만 19~39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울 영테크’ 사업: 코인, 주식, 부동산, 리셀 /일러스트

하지만 이런 교육도 필요할 순 있지만 교육 목표를 좀 더 공적인 것에 맞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윤태 고려대 공공정책대 교수는 “청년들에게 새로운 취업 기술이나 창업 정보를 알려주는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며 “공공이 제공하는 교육은 재테크보다는 좀 더 공적인 목적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주식과 코인 투자 열풍을 타고 유망 종목을 알려주겠다며 접근하는 리딩방 등으로 인한 투자 피해는 급증하고 있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카톡방,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투자 조언을 해주겠다는 유사투자자문업으로 인해 피해를 봤다는 민원이 올해 1~6월에만 774건 접수됐다. 2019년에는 348건, 지난해는 621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