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통령 제2집무실 세종 설치가 본격화한다. 9월 중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단’을 출범해 2027년 상반기까지 제2집무실을 설치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28일 이러한 내용의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세종시 어진동에서 건립 중인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이 오는 10월 완공을 앞두고 위용을 드러냈다. 행정안전부 등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에 따른 사무공간 부족 해소를 위해 2020년 4월 착공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은 지하 3층·지상 15층, 건물면적 13만㎡ 규모로, 오는 10월 완공 후 시운전을 거쳐 12월 개청한다. /연합뉴스

건립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9월 중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단을 출범시키고 구체적인 연구 용역에 착수하기로 했다. 추진단장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이 맡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연구 용역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관계 기관, 전문가, 국민 의견 등을 수렴해 제2집무실의 기능과 규모, 위치 등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에 기본 계획을 수립하면 바로 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2025년 초에 착공하면 2027년 상반기에 준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 정부세종청사, 앞으로 건립될 국회 세종의사당과 조화롭게 연계될 수 있도록 도시 계획을 마련하고 교통 등 관련 인프라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통령 제2집무실 세종 설치는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지난 5월 ‘행복도시법’ 개정을 통해 세종시에 제2집무실을 둘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하지만 지난달 행정안전부가 제2집무실 설치 전까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신청사에 임시 집무실을 두겠다는 당초 계획을 취소하면서 야권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이 공약을 파기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후 윤 대통령이 “제2집무실 설치는 불가역적 결정으로 되돌릴 수 없다”고 해명하면서 논란은 일단락됐다.

정부 관계자는 “제2집무실 설치 전까지 신청사에 임시 집무실을 새로 만들지 않고 기존 정부세종청사 1동의 집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