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뉴스1

정부가 차기 경찰청장 후보자 선정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24일 확인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김창룡 현 경찰청장의 거취에 대해 “임기가 이제 한 달 남았는데 그게 중요한가”라고 말했다. 김 청장이 7월 23일까지 임기를 채울 것이라고 윤 대통령이 시사한 가운데 정부가 차기 경찰청장 후보자 선정 준비에 들어간 것이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행정안전부는 지난 23일 오후 경찰청에 경찰청장 후보자 사전 검증을 위해 인사검증동의서, 재산 내역, 사전 질문지 등 인사 자료를 가급적이면 이날 자정까지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청은 이 같은 통보를 받은 직후 경찰청장 후보자인 치안정감들에게 “희망하는 사람은 인사 자료를 작성해 제출하라”고 전달했다. 한 치안정감은 “시간이 급박하긴 했지만 관련 자료를 준비해서 냈다”며 “사전 질문지에는 ‘자녀 입시에 편법을 활용한 적 있느냐’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고 말했다. 동의서를 바탕으로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 인사 검증 작업이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장은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이다.

경찰청장은 치안정감 중에서 발탁하도록 돼 있다. 치안정감은 경찰청 차장, 서울청장, 경기남부청장, 부산청장, 인천청장, 경찰대학장, 국가수사본부장 등 7명이다. 이 중 임기가 있는 국가수사본부장을 제외한 나머지 6명이 검증 동의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4일과 이달 2일 두 차례에 걸쳐 전 정권에서 임명된 기존 치안정감 7명 중 국수본부장을 제외한 6명을 교체한 바 있다.

경찰 인사를 둘러싼 논란은 이날도 계속됐다. 치안정감 인사도 여권 인사 등의 입김으로 막판에 달라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경찰청은 “인사과장이 경찰청장에게 확인한 결과 ‘사실관계가 맞지 않는다’고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찰청의 치안감 인사 발표가 번복된 것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경찰은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김 청장은 이날 “이미 인사 부서에서 충분히 설명된 것으로 알고 있고, 그 이상 추가로 보고받은 내용이 없다”고 했다. 행안부 치안정책관이 보내준 대로 관행에 따라 발표했을 뿐이라는 취지로 해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