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을 막도록 거실과 침실을 상·하층으로 분리한 아파트 구조. /예가종합건축사사무소 제공

코로나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며 층간소음 문제도 두드러지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층간소음 신고 건수는 4만2250건으로, 1년 전(2만6257건)보다 61%나 늘었다. 지난해에는 상반기 신고 건수만 3만2077건이 접수됐다. 층간소음 갈등으로 살인사건까지 발생하는 요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아파트가 제안됐다.

13일 건축사 예가종합건축사사무소에 따르면 지역 커뮤니티 카페, 부동산 카페 등 300여 곳에서 3065명을 대상으로 ‘층간소음 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파트’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96.9%가 ‘층간소음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층간소음으로 인해 이웃 간 불화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이들도 64.9%에 달했다. 응답자들은 아파트에서 소음 및 진동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거실(78%)을 꼽았다. 또 층간소음 피해를 받지 말아야 할 공간으로는 침실(82.1%)을 선택했다.

이를 반영해 건축사는 층간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거실과 주방을 위층에 배치하고, 침실 공간을 하부층에 둔 아파트를 계획했다. 생활공간과 휴식공간을 나눈 새로운 복층형 아파트다. 침실에서 잠을 잘 때 위층이 우리 집 거실이니, 완충공간이 생겨 윗세대의 소음 진동이 침실로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에 충격음이 벽을 타고 다른 세대로 전달되는 벽식 구조 대신 기둥식 구조를 적용하는 방안을 생각했다. 국내 아파트의 85%는 벽식 구조로 건설됐다. 기둥식 구조는 바닥 진동이 대부분 보와 기둥으로 분산되면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약해진다. 공기전달음도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특허공법을 적용하고, 이중 기둥을 설치하면 안전한 구조는 물론 충격음 전달 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게 건축사의 설명이다.

층간소음을 막기 위해 거실과 침실을 상·하층으로 구분한 아파트 구조. /예가종합건축사사무소 제공

이러한 아파트 계획을 설명한 후 의견을 물었을 때 설문조사에 응한 응답자 중 60.3%는 ‘동적인 공간과 정적인 공간이 낮과 밤에 사용하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계단의 불편함과 분양비 상승의 우려 등도 제기됐다. 층간소음을 해결한 아파트를 위해 분양대금을 더 지불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81.3%가 ‘그렇다’고 답했지만, 79.9%에 달하는 이들이 수용할 수 있는 추가 분양대금은 1000만원대 이하였다. 그러나 복층형 구조의 아파트를 위해서는 분양가가 약 2000만원이 올라갈 것이라고 건축사는 예상했다.

건축사 관계자는 “층간소음은 아파트 구조상의 문제로, 한 번 지어지면 해결하기 어렵다”며 “처음부터 층간소음에 중점을 두고 건물을 설계하도록 법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한 분양비 상승을 감수한 입주자라면 거주하면서 층간소음 문제가 발생하면 시공사에서 하자 보완을 해야 한다”며 “건설사의 반발을 막을 수 있는 정부 정책 또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