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2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여성 정책 박람회 ‘2022 여성 업(UP) 엑스포’를 찾은 여성이 일과 삶의 균형을 향한 희망 사항을 쪽지에 적고 있다. /뉴스1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부산과 서울, 세종이 일과 생활의 균형이 가장 잘 잡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경북, 강원, 울산은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의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부는 2017년부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을 통해 17개 시·도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일과 생활, 제도,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에서 측정해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지수는 2021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고용부에 따르면, 전국의 일·생활 균형 지수는 2018년 50.1에서 2019년 50.5, 2020년 53.4로 매년 상승한 데 이어 2021년 1.3점이 더 상승한 54.7을 기록하는 등 일·생활 균형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11개 시·도가 전년보다 점수가 올랐다.

부산이 64.1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고용부는 부산의 경우 “일·생활 균형을 담당하는 조직과 조례가 뒷받침되고 있고,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도 잘 되고 있다”고 했다.

서울이 62.0점으로 2위였다. 서울은 제도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국·공립 보육 시설 설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비율이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사용 사업장 비율도 다른 시·도에 비해 높았다.

/자료=고용노동부

이어 세종(60.8점), 대전(60.3점), 경남(58.1점)이 상위권으로 분류됐다. 경기(56.9점), 충남(56.0점), 전남(54.9점), 제주(54.8점), 대구(54.8점)도 전국 평균보다 점수가 높았다. 광주(52.2점), 전북(50.9점), 인천(50.6점), 충북(49.4점), 강원(48.9점), 울산(47.3점)은 평균 이하였고, 경북이 47.3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일·생활 균형 지수는 24개 지표를 종합해 측정된다. ‘일’ 영역에서는 해당 시·도 근로자들의 1인당 연중 근로시간과 초과 근로시간, 휴가 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한 사업장은 얼마나 되는지, 유연근무제도를 근로자들이 실제로 이용하는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를 따진다. ‘생활’ 영역에서는 가사노동시간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 여성 취업과 가사 분담, 일·가족생활 중 가족생활을 우선시하는 정도 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평일 여가시간, 일과 여가생활의 균형 정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다. ‘제도’ 영역에서는 남녀 근로자에 대해 육아휴직제도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실제로 시행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 비율, 초등 돌봄교실 이용률을 잰다. ‘지자체 관심도’ 영역에서는 일·생활 균형에 관한 조례가 있는지 여부와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 정도 및 담당 조직 유무, 일·생활 균형 관련 교육·컨설팅 시행 여부, 지역사회 가족문화 관련 시설 현황을 따진다.

임영미 고용부 고용지원정책관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는 지역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가늠해보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를 지자체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근로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유인할 수 있는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해 각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주기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