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초·중·고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인공지능(AI) 기능이 탑재된 새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 정부는 디지털 교과서를 3년간 기존 종이 교과서와 함께 사용하다가 2028년부터는 디지털 교과서로 전면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교육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수학·영어·정보 등 3과목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기로 하고, 각 교과목 특성에 맞는 AI 기술을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다. AI 기술은 ‘챗GPT’와 같은 대화형 챗봇,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확장현실(XR), 음성·필기인식 등 여러 갈래로 발전하고 있는데, 과목마다 맞는 기술을 접목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수학은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적용해서 학생 수준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영어는 AI 음성인식 기능으로 듣기·말하기를 지원할 수 있다. 정보 과목은 코딩 실습을 강화한다. 새 교과서는 2025년 초등2·3년, 중1, 고1 학생들에게 적용된 뒤 연차적으로 다른 학년에 확대된다.

교육부는 오는 5월 수학·영어·정보 외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추가로 적용할 과목을 확정하고, 8월엔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후 교과서 발행사들이 종이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를 동시에 개발하게 된다. 발행사는 다른 에듀테크 업체와 협업할 수도 있다.

교육부는 교사들이 AI 기술을 활용해 수업 혁신에 나설 수 있도록 ‘선도 교사단’을 올해 400명 규모로 운영하고, 2025년엔 1500명까지 확대한다. 이들 교사가 동료 교사들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을 지원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