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2일 초·중학교에서의 정보 교과 시간을 2배로 늘리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코딩) 교육을 강화하는 등 디지털 분야 인재 100만명을 양성하기 위한 계획을 내놓은 가운데, 교육 현장에선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디지털 분야에 대한 공교육을 강화한다는 방향성에는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부작용에 대한 대비가 없다면 오히려 교육 현장에 혼란만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하고 있다./뉴시스

교육계에서 가장 크게 우려하는 부분은 교원 확보 문제다. 초·중학교에 디지털 관련 수업 시간이 많아지면 이를 가르칠 교사도 늘려야 하는데, 이번 발표에는 정보 교과의 교원을 얼마나 어떻게 늘릴지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지금도 정보 교사가 1명 이상 배치된 학교는 전국의 중학교 3172곳 중 47.6%뿐이고, 나머지는 1명의 정보 교사가 2~5개 학교를 순회하거나 관련 기간제 교사가 내용을 가르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 수 감소 등을 고려했을 때 모든 학교에 1명 이상의 정보교사를 배치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이나, 교사 수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타 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초·중학교 코딩 교육 필수화가 사교육 과열을 부를 것이란 학부모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의 디지털 인재 양성 계획 발표 이후, 22~23일 다수 맘카페에선 “초등학교 저학년 때 코딩 학원도 병행해야 하나” “아이가 C언어·파이선(프로그래밍 언어)을 배우는 거냐” 등의 걱정이 다수 올라왔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2018년부터 이미 초·중교에서 시행 중인 소프트웨어 중심의 코딩 교육에 AI와 빅데이터 관련 내용을 추가하고 체계화하겠다는 것”이라며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때문에 학교 밖에서의 추가 교육은 불필요하고, 오히려 그동안 학원에서 돈 주고 배워야 했던 것들을 공교육 내부로 편입시키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현재 초·중학교에선 초급자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이 프로그램들을 활용해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AI와 빅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까지 가르치게 된다. 교육부는 “현재는 초·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코딩 내용이 서로 연결이 되지 않는데, 앞으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코딩 교육에 유기적인 연결 고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