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학회가 최근 불거진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60억원 위믹스 코인’ 논란과 관련해 10일 성명을 내고 “국회에 만연한 로비 행태부터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을 비롯해 국회에서 문제가 된 위믹스 코인을 보유한 사람을 전수 조사해 보유 경위를 규명해야 한다고도 했다.

게임 학회는 “수년 전부터 게임을 하면서 (현재 불법인) 돈 버는 게임(P2E·Pay to Earn)을 운영하는 업체와 협회·단체가 국회에 로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했다”며 “로비가 실제로 있었는지 조사해야 하며, 국회의원뿐 아니라 보좌진에 대한 (코인 보유 현황) 전수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논란이 불거진 위믹스 코인은 게임사 위메이드가 2019년 말 “게임에 블록체인과 가상 화폐 경제를 접목하겠다”며 내놓은 가상 화폐다. 게임에서 쓸 수 있는 가상 화폐를 만들겠다는 취지였지만, 결국 위믹스 같은 코인이 돈을 주고 사고팔 수 있기 때문에 사행성 게임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비판이 많았다. 특히 지난해 위믹스 유통량이 공시보다 30%가량 많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정치권 로비설도 끊이지 않았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중앙대 교수)은 본지 통화에서 “이름을 밝힐 순 없지만 국회의원 보좌관 중에서 위믹스를 보유한 사람들을 알고 있다”며 “국회에서 P2E 게임에 대한 규제 완화 기류가 흐를 때마다 위믹스 코인의 가치가 급등했다”고 했다. 그는 “위믹스가 지난해 2만~3만원에 거래될 때 벌써 10만원, 20만원으로 가치가 폭등할 것으로 예측하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위믹스 이익 공동체’가 국회에 있다는 의혹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