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15일(현지 시각)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장악을 완료했다. 이에 카불에 있던 미 대사관에 걸려 있던 성조기도 내려졌다고 CNN이 보도했다. 성조기 하강은 사실상 대사관 직원 대피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당초 미 국무부는 대사관 직원들은 전면적인 철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왔지만, 상황이 악화되면서 거의 모든 요원들을 대피시킨 것이다.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함락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15일(현지시간) 철수작전에서 나선 미군의 치누크 헬기가 카불 주재 미 대사관 상공을 날고 있다. /AP, 연합뉴스

CNN 보도에 따르면 한 소식통은 대사관 인력의 아프간 철수 절차가 이날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카불 공항에 머물 소수의 외교관을 제외하고는 이날 저녁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미 대사관에는 일부 보안 관계자들만이 남아 있고, 이들 역시 조만간 떠날 예정이라고 한다.

당초 미 정부는 4200명에 이르는 아프간 주재 미 대사관 직원을 오는 17일까지 순차적으로 대피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탈레반이 전날 카불에 진격하는 등 상황이 긴박해지자 미국은 헬기를 동원해 대부분의 요원들을 대피시키기 시작했다.

미 국방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대사관 직원과 아프간의 미군 협력자 등의 대피를 돕기 위해 1000명의 미군을 추가 투입한다고 전날 밝힌 지 하루 만인 이날 병력 1000명을 더 추가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아프간 주재 미 대사관 경비 등을 위해 미군 1000명을 남겨두기로 한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2일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 미군 3000명을 배치한다고 발표했었다. 그런데 상황이 급박해지면서 이틀 만에 1000명을 추가 배치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 또 1000명을 더 보내기로 해, 총 6000명으로 늘어났다.

앞서 미 네드 프라이 미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포기하는 게 아니다. 대피가 아니며 전면적인 철수는 아니다”라고 했지만, 결국 완전 철수로 후퇴했다. CNN은 “(미 국무부 브리핑으로부터) 사흘이 지난 지금 대피가 거의 완료된 상태”라며 국무부 발표와 현실이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각)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화상을 통해 아프간 현지 상황을 보고 받고 있다. /백악관 트위터

한편 백악관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아프간 현지 상황을 화상으로 보고받는 모습을 공개했다. 백악관은 이날 트위터에 글을 올려 “오늘 오전 대통령과 부통령은 국가안보팀과 고위 참모들과 만나 아프간에 있는 우리 민간 요원들의 철수, 특별이민비자 지원자들과 동맹들의 대피, 카불의 안보 상황에 대해 보고받았다”고 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관련 발언은 전하지 않았다.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바이든 대통령이 며칠 안에 아프간 사태와 관련한 성명을 발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