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뉴욕시가 지난 1970년대 재정 고갈로 치안·교육·복지·교통 등 기본적 도시 기능이 붕괴, 중산층 80만명이 빠져나가고 슬럼화됐을 때의 모습. /미 의회 도서관 소장 자료

미국 최대 도시 뉴욕이 공무원 급증 등에 따른 예산 고갈로 1970년대와 같은 파산 위기에 처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최근 시의회 등에 50억달러(약 6조원) 차입을 허용해줄 것을 요구하면서, 불발될 경우 오는 10월 1일 시 공무원 32만명 중 2만2000명이 해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의회와 주정부는 재정 절감 노력이 먼저라며 차입 허용을 거부하고 있다.

뉴욕시는 코로나 봉쇄로 인해 금융사와 글로벌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가 급증한 데다, 부유층이 교외로 대거 이탈하고 관광 수입이 급감하면서 심각한 세수 부족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치안·교육·보건·교통 등 기본적 도시 기능을 수행하기 힘들 정도다. 거리의 쓰레기조차 제대로 수거되지 않을 때가 있고, 노숙자도 급증하는 모습이다.

또 민주당 소속의 급진 좌파 정치인 더블라지오 시장이 지난 7년여간 시 공무원을 지나치게 늘려 심각한 재정 고갈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 더블라지오 시장 임기 첫해인 2014년 730억달러(약 87조원)였던 뉴욕시 예산은 지난해 920억달러(약 109조원)로 급증했다. 공무원 노조의 요구를 대폭 받아들여 수만 명을 신규 채용하고, 이들에게 지급해야 할 연금·퇴직금 규모도 급증한 탓이라고 NYT는 전했다.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

이는 50년 전 뉴욕시의 파산 직전 위기와 흡사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분석한다. 세계의 경제 수도였던 뉴욕시는 1970년 초반 베트남전 여파로 인한 극심한 경제난 속에서 세수가 고갈됐고, 중산층 80만명이 교외로 이탈하면서 범죄와 마약이 들끓는 곳으로 추락했었다.

진보 성향 신문인 NYT는 이날 사설에서 “뉴욕시를 되살리려면 인기 없는 정책을 택하는 결단을 해야 한다”며 “고용 잔치부터 줄이고, 공무원 노조는 임금 동결에 합의해 고통 분담에 나서라”고 했다.